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네이처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 2015년 어느 날. 유전적 피부질환 분야 전문가인 데 루카 이탈리아 모데나대 교수는 독일의 한 병원으로 ... “향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모든
유전자
를 조작한 치료법이 나오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전체 엑솜(게놈에서
유전자
가 있는 부위)을 분석해 이 가운데 76명(78%)의 암 관련
유전자
에서 AA가 일으킨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그 뒤 네트워크를 동원해 세계 각국의 간암 환자 1400명의 암세포 전체 엑솜 데이터를 입수해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 간암 환자의 47%가 AA와 관련이 있게 나왔고 화교들이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10.30
‘수렴 진화’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오래 전부터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843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Amsilk)’는 거미줄 단백질로 피부 관리용 화장품을 탄생시켰다. 암실크는 대장균
유전자
를 조작해 ‘스파이드론(Spidron)’ 이라는 거미줄 단백질 제작했다. 그리고 이를 건조시켜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로션 등에 제품에 섞은 기초 화장품, 마스크 팩 등을 선보였다. 거미줄 단백질은 인간이 가진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존홉킨스대 교수와 스테판 몽고메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각 조직에 맞는
유전자
가 발현되도록 하는 조직 특이적 돌연변이에 대해 조사4)했습니다. 나머지 두 논문은 RNA 편집 과정2)과 X염색체 비활성화3)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 관련 자료 1) GTEx Consortium et al, Genetic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가르치며 살다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은 것이다. 로스배시 교수는 부고에서 자신들이 per
유전자
를 규명하는데 코놉카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며(로스바쉬의 공동연구자 제프리 홀은 1971년 박사후연구원으로 벤저 교수의 실험실에 들어갔고 동년배인 코놉카와 친하게 지냈다. 코놉카는 홀과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풀렸다. 하지만 이종 장기 이식을 실제로 진행하기까진 인간 면역계를 자극하는 돼지
유전자
를 제거(녹아웃)하는 등 호환성을 높이는 일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교란하는 비구조단백질(NS)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유전자
에 변이가 일어나 이미 병원성이 꽤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만일 전염성까지 높아진다면 사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도 있다. 그런데 SFTS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작은소참진드기는 주로 쥐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지난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
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크리스퍼/캐스9 시스템을 사용해 꽃의 색을 바꾼 최초의 시도라며 앞으로 원예식물 육종에 이 기술이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필자소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퍼뜨릴 수 있지만 여자는 임신해 아이를 낳고 오랜 기간 키워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좋은
유전자
를 고르기 위해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는 실험들이 많은데 가장 노골적인 예로는 캠퍼스에서 남자 대학생에게 낯선 젊은 여성이 다가가 성관계를 제의할 경우 절반 이상이 응하는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