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05
제주도에서 미국 로스엔젤레스(LA)를 잇는 해저 터널이 가능할까. 길이만 1만km를 훌쩍 넘는다. 평균 수심 4000m에 달하는 엄청난 부피의 바닷물은 어찌할 것인가. 엄두가 나지 않 ... . 해저도시 건축학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
배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05
전 세계에 1700대 이상 팔렸다. 1300대가 미국에, 300여 대가 유럽에 있다. 아시아에는
100
여 대 있고, 대부분 우리나라에 있다(일본은 수술로봇 사용을 의료보험법 제도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다빈치의 국내 공급을 맡고 있는 ‘바이오로보틱스’의 이범교 사장은 “로봇수술은 흉터가 적고, 회복도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05
수 있는 크기로 잘라주는 나노가공장비다. 생쥐의 뇌세포를 관찰할 때는 시료를 50~
100
nm 두께로 만든다.이 세포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하려면 전자단층촬영(ET)기법을 쓴다. 잘 알려진 CT(컴퓨터단층촬영)처럼 단층 사진을 여러 장 찍은 다음, 합성해 3차원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CT는 환자가 ... ...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05
자신이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모르면 목표를 장기적으로 세울 수 없다. ‘이번 시험에서
100
점 맞아야지’처럼 단기목표를 세우게 된다. 그렇게 되면 행복해지기 어렵다. 공부하는 기계가 아니다. 공부의 목표를 장기적으로 세우면 당장 시험 한번에서 문제를 틀려도 크게 흔들리지 않고 즐길 수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로봇 근육사람보다 3~5배 정도 키가 큰 트랜스포머의 범블비 같은 변신로봇은 팔 하나가
100
㎏이 넘어. 이렇게 큰 로봇은 어떻게 움직일까?인간형로봇 관절에 주로 쓰는 전기식모터는 힘이 약해서 몇 ㎏도 들 수 없어. 기름과 압력을 이용해 수백㎏ 정도를 들 수 있는 유압모터는 어떨까? 물총과 비슷한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04
수mm이고 DNA가닥의 지름이 수 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이므로 나노 뜨개질은 대략
100
만 분의 1 크기로 축소된 뜨개질인 셈이다.그런데 과학자들은 DNA를 이용한 나노 뜨개질에 ‘DNA 오리가미’란 이름을 붙였다. 오리가미(origami)는 종이접기의 일본말로 영어에서 그대로 받아들여 쓰고 있는 단어다.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04
상징하는 것은 역시 자이언트 거북이다. 200년까지 산다고 알려진 이 거북은 한때 섬마다
100
여마리로 줄었을 정도로 멸종 위기에 몰렸다. 암울했던 과거를 잘 보여주는 것이 ‘외로운 조지’다. 외로운 조지는 1971년 겨울 작은 핀타섬에서 발견된 마지막 육지 거북이었다. 같은 섬에서 암컷을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04
즐겨 먹던 소비자들은 배신감을 느낀다는 반응이었다. 그동안 피자 업체 대부분은 ‘
100
% 자연치즈’를 강조하는 광고를 해왔기 때문이다. 일부 소비자들은 ‘가짜 치즈’를 속여서 팔았다며 분노하기도 했다. 그러나 모조치즈가 못 먹을 식품은 아니다. 자연치즈의 맛과 모양을 흉내 내서 만든 건 ... ...
제11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204
지정도서를 읽고 작성하면 된다. 중·고등부 대상 수상자는 지식경제부 장관상과 상금
100
만원을 받는다. 특히 올해 고등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과학동아와 한국해양연구원이 공동주관하는 열대해양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대한민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유리 표면을 훑게 했을 때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자 요철이 있는 재질일 때 감도가 최대
100
배까지 민감해짐을 확인했다.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