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대충 여러 권을 푸는 것보다 한 권이라도 확실하게 푸는 게 더 도움이 됩니다.또 한 가지 당부하고 싶은 말은 교과서도 아주 훌륭한 문제집이라는 점입니다. 항상 옆에 있어 소중함을 느끼지 못하지만, 교과서에 있는 문제들만잘 풀어도 수학 실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필자소개오선영 교사는 2 ...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침이나 콧물을 통해 전파되는 호흡기 바이러스다.호흡기 전파는 비말과 공기매개 두 가지가 있다. 비말은 기침이나 재채기, 혹은 대화할 때 침에서 나오는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의 입자 분비물이다. 이 속에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는데, 비말은 약 2m까지 날아갈 수 있다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물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따라서 핵무기 개발과 마찬가지로 여러 국가에서 비공식적으로 바이러스 무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유전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치명적이고 전파율도 높은 신종 바이러스가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아형 바이러스가 탄생할 수 있다. 실제로 가장 독성이 강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종은 19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존재한다.유전체 복제 과정에서 돌연변이를 만들어내는 속도는 바이러스마다 다르다. 속도는 ‘tMRCA(time to most recent common ancestor)’라는 계산법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계통학적으로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현대 면역학의 토대가 만들어진 건 1980년대에 들어서였다.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항원을 먹어치우는 건 선천 면역반응에 해당하고, 항원에 특이적으로 맞서 싸우고 항원을 제거할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이었다. 포터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동일한 두 부분은 Y의 가지 부분, 나머지 하나는 줄기 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994년 에델먼은 미국 잡지 ‘뉴요커’와의 인터뷰에서 “과학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나 (진리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며 “과학 연구는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천연두바이러스와 전혀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였다. 하지만 두 종은 교차 면역성을 가지고 있어 우두바이러스를 접종하더라도 천연두바이러스에 대한 후천 면역이 생성될 수 있었다. 교차 면역성은 서로 다른 항원을 인체가 동일한 종류로 인식해 면역을 획득하는 성질을 말한다.일부 백신으로 얻는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내가 소개할 방법은 사전 테스트를 하는 거야. 개발자들은 10%, 15%, 20%, 25%와 같이 여러 가지 확률 중 유저들의 재미가 최대가 되는 확률을 찾기 위해 사전 테스트에서 ‘입실론 그리디 알고리듬’을 이용하기도 해. 입실론 그리디 알고리듬은 카지노의 슬롯머신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최적화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갓 태어난 초파리가 나는 법을 익힐 때 활성화되는 뉴런(뇌 신경세포)을 확인한 뒤, 여러 가지 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초파리들의 뉴런과 비교 분석했어. 그 결과 이미 다 자란 초파리도 날 수 없는 상황에 부딪히자 같은 뉴런이 활성화됐고, 이 뉴런이 수면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 문제를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VZV가 발견됐는데, 모두 증상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VZV의 활성화 여부로 우주인의 면역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NASA는 우주인이 탐사선이나 국제우주정거장(ISS)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