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관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측두엽과 소뇌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7-02304-z우리는 17~48세 남녀 92명을 대상으로 지능지수(IQ) 검사와 함께 fMRI와 DTI 촬영 자료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두엽-두정엽 사이는 물론 두정엽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정확하게 알아야 오염수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국제
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방안과 시기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일본에 거듭 요청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라고요.최 책임연구원은 불확실한 예측보다는 정확한 관측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크리스퍼(CRISPR)를 이용해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들었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단일 가닥 DNA와 크리스퍼를 이용해 하이드로겔 형태의 신소재를 제작했다. 먼저 단일 가닥 DNA를 이용해 그물 형태의 하이드로겔을 제작하고 그 안에 항암제 ... ...
[가상인터뷰] 게와 새우를 합쳐놓은 듯한 게 화석 '키메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절지동물의 시조가 됐을 거라 추정하고 있어. 이번 연구에 대해 미국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의 헤더 브래켄 그리섬 진화 생물학자는 “새로 발견한 게 화석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독특한 신체 형태를 갖기 때문에 게의 진화 역사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지 ... ...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우리는 블랙홀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지난 4월 10일 오후, 전 세계가 떠들썩했어요.
국제
연구 협력 프로젝트인 ‘사건지평선망원경(EHT, 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팀이 최초로 포착한 블랙홀의 사진을 공개했기 때문이죠. 이날 EHT 연구팀이 공개한 사진의 주인공은 거대 타원 은하 M87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설익어 맛이 없답니다. 그런데 2008년, 우리나라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는 산보다 높은
국제
우주정거장(ISS)에서 라면을 먹었어요. 비결이 뭘까요? 사실 ISS에서는 물을 끓일 수 없어요.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아무리 끓여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과열’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지요. 과열 현 ... ...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사자자리에 있는 외계 행성인 K2-18b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을 발견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K2-18을 공전하는 K2-18b는 지구보다 8배가량 큰 질량을 갖고 있으며, 대기가 있는 암석 행성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블랙’ 등장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가장 어두운 검은색보다 10배 더 어두운 검은색을 띠는 탄소나노튜브(CNT)를 개발해
국제
학술지 ‘ACE 응용물질 및 계면’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층을 제거하고 CNT를 만들면서 온도를 100도로 낮추면 탄소 구조물이 더욱 검게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은 이 ... ...
[과학뉴스] 사람 때문일까? 돌고래도 항생제 내성 피해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생물도 인간의 항생제 사용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수생 포유류’ 9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578/AM.45.5.2019.53 ... ...
[화보] 한글이 그들의 눈이 되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한글 사용은 무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이뤄진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
국제
사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인도네시아 학생들에게 한국은?처음 인도네시아에 도착했을 때 이미 드라마 ‘대장금’이나 K팝이 유명했다. 그리고 학생들이 한글을 배우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더욱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