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15퍼즐과 루빅스 큐브도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큐브를 좌우, 위아래 방향으로 돌릴 때마다 변하는 배열을 마르코프 연쇄로 보고 확률 분포의 차이가 0에 가까워지게 만드는 횟수를 계산했죠.2×2×2 큐브라고 해도 좌우, 위아래로 각각 90°, 180°, 270° 회전할 수 있어 가능한 배열의 수가 367만 4160가지나 됩니다. MCMC 기법을 적용한 컴퓨터 알고리듬을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과거에는 큰 회사에서만 데이터를 분석했지만, 지금은 회사의 규모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보고 크고 작은 결정을 내립니다. 각 기업에 맞는 데이터 기술들이 필요한 만큼, 데이터 분야는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개발자가 아직은 많지 않아 취업할 곳도 많지요. 향후 10년 ... ...
- [에디터노트]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ACE2’ 수용체에 달라붙는데, ACE2 수용체가 다른 세포보다 지방세포에 월등히 많다는 보고도 있다. doi: 10.1002/oby.22856 초콜릿을 먹고 버티며 마감을 하고 나면 삼겹살을 먹으러 간다. 지방은 언제 친구가 되고, 언제 적이 될까. 아직 우리는 모르는 게 너무 많고, 과학은 무지와 미지를 찾아가는 ...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식당 한 곳의 사례를 분석한 것이며, 에어컨을 틀었는데 창문이 없어서 환기를 안 했다고 보고돼 있다”며 “에어컨을 사용하더라도 수시로 창문을 열어 환기하면 에어컨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중국 연구팀의 사례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경우”라며 “그와 달리 국내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바이오기업인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관계사가 메르스 백신 임상을 시작한다는 기사를 보고 그곳에서 일을 해보자고 생각했다. 주변에서는 말렸다. 큰 조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조직으로 이직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처음 미국에 왔을 때 작은 제약 벤처들이 근 10년 사이에 이름을 알릴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등의 준비상황을 발표했다. 뒤이어 나로호 이송과 관련한 작업 스케줄을 러시아 측이 보고했다. 나로호개발책임자로서 위원장을 맡았던 필자는 이 모든 데이터를 종합해 나로호 이송을 최종 승인했다. 조립동부터 발사대까지의 거리는 약 1.5km. 걸어서도 15분이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거리지만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참여했습니다. 오 교수님의 명강의도 듣고, 로봇에 대해 궁금했던 것들을 채팅으로 물어보고 답변도 들을 수 있었는데요. 오 교수님이 어떤 얘기를 했는지, 그리고 멤버들의 질문에는 어떤 답변을 내놨는지 하이라이트로 다시 한번 짚어 볼까요. 하이라이트1. 구조화된 공장, 구조화되지 않은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재다가 처음 발견했지요. 그는 가시광선 밖에서 온도계가 더 높은 온도를 가리키는 것을 보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빛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적외선은 붉은색 밖에 있는 선이라는 의미로, 한자 ‘붉을 적(赤)’에 ‘바깥 외(外)’를 붙여 만든 이름입니다. 영어로도 적색을 의미하는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주어와 서술어의 순서, 조사와의 결합 같은 문법과 문제 바로 앞뒤에 나온 가사를 보고 문맥을 파악해 정확한 가사를 찾습니다.재밌는 건 사람의 말을 정확하게 들어야 하는 음성 인식 기술에서도 이와 비슷한 방법, 즉 ‘언어 모형’을 활용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인다는 겁니다. 음성 인식은 음성 ... ...
- [별헤는수학] 랜선으로 떠나는 우주 여행, 이번 정류장은 화성입니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흔적이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1만 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화성 표면 사진을 보고 표시한 정보를 이용한 겁니다. 2019년에 발표한 논문은 8만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4만 개로 쪼갠 221장의 사진에 표시한 결과를 분석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봄철 화성의 남극에 부는 바람의 흐름에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