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으)로 총 3,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구공학을 실행한다면 미래 모습은 어떻게 펼쳐질까. 지금까지 논문으로 발표된 지구공학 아이디어들을 땅과 바다, 하늘 및 우주로 나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Part1. 왜지구 공학인가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에까지 건너갔다. 오늘날 유럽의 백개몬(backgammon, 사진)은 인도에서 유럽으로 건너간 쌍륙의 하나로 우리 쌍륙과 비슷하다.이처럼 쌍륙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전역에서 즐기는 주사위놀이다. 쌍륙이라는 이름은 판의 칸이 한 줄에 12개, 즉 6×2인 데서 붙여졌다. 주사위는 ...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분류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역사 속의 책 분류법인간이 기록을 남기기 시작하면서 자료를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이 등장했다. 기원전 7세기 고대 아시리아의 도서관에서는 쐐기문자로 새겨진 점토판을 하늘에 관한 내용과 땅에 관한 내용으로 나눈 다음, 문법과 ...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방법을 찾으려고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윷놀이는 이런 특성을 가장 잘 충족시켜주는 놀이인 셈이다. 즉 수학적으로 윷판을 더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는 있겠지만 현재의 구조가 재미있게 놀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는 설명이다.말 4개가 출발해서 모두 도착하려면 윷을 몇 번 던져야 할까? ...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촉진돼 더 빨리 자란다.고베 대지진 현장을 가다!전세계적으로 화산이 많은 지역인 화산대와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진대는 거의 일치해요. 화산과 지진 모두 지각이 약하고,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움직이면서 생기는 현상이기 때문이죠.화산대와 지진대가 모두 걸쳐 있는 일본에서는 지금도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수학자이자 사회네트워크 분석가인 발디스 크렙스는 테러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다. 테러를 저질러서가 아니라 테러범을 분석했기 때문이다. 현재 악명 높은 테 ... 인맥 찾아내는 소셜 사이언스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 ... ...
- “수학과 글쓰기 중요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확대와 같은 변화 계획은 없는가? 궁극적으로 가져가고자 하는 입시전형은 어떤 형태인가?입학사정관제에서 추구하는 것은 수학, 과학의 잠재력이 있는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다. 수학, 과학에 대한 열정과 함께 현재 드러나지 않는 잠재력을 보고 기회를 준다. 그러한 요소는 1단계와 4단계에 ... ...
- 수학 논술 - 통큰 치킨과 게임 이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원, B가 100만 원을 기부해 300만 원을 모금하면 사회자는 자신의 지갑에서 300만 원의 절반인 150만원을 꺼내서 더한 450만 원을 두 명에게 나눠준다. 따라서 A는 225만 원, B는 원래 갖고 있던 100만 원에 225만 원을 합쳐 325만 원을 갖는다. 이 게임의 지불행렬을 나타내고 내시 균형을 찾으시오. 3) [난이도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섬광액체 속을 통과하다가 양성자와 충돌하면 양전자와 중성자가 나온다.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만큼 얇은 유리렌즈를 연마해 콘택트렌즈를 발명했다. 1936년 미국의 검안사 윌리엄 페인블룸은 이것을 플라스틱으로 만들었다. 눈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유리렌즈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지금은 미용 목적으로 다양한 색깔의 렌즈를 만들기도 한다.칼이나 도끼로는 신속하게 처리하기가 어려워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