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찰
검사
시험
셤
판단
조사
검역
d라이브러리
"
진단
"(으)로 총 1,525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에는 철분이 긴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난폭한 범죄의 중요 요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것은 과학적 근거가 빈약하고
진단
방법 등이 모호해서 아직 확인되지는 않고있다. 설탕과 과민성 행동작은 일에도 곧잘 짜증을 내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어린이들이 많다. 이런 어린이들의 과민성 행동(hyperactivity)은 일반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한 ... ...
한국인의 얼굴 모습 달라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따라서 과거보다 나은 영양을 제공받았으므로 얼굴이 피하층이 두꺼워진 것이다"라고
진단
한다.또 여자의 얼굴이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커진 이유에 대해서는 "근대화에 따라 남여의 차별, 특히 급식에 있어서의 차별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얼굴 폭 대(対) 길이의 비(比)는 1 : ... ...
50만원 PC, 언제 출현할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수 있는 단계에까지 와있는지'에 대해 전문가들은 '하려고만 들면 못 할 것도 없다'고
진단
한다. 다만 기업들이 막대한 설비투자에 대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순간까지 주판알을 튕길 것이라는 얘기다.PC가격이 갈수록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과는 대조적으로 현재 대부분 무료나 아주 싼값으로 ... ...
전자제품의 정밀화 소형화에 기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관심을 두었다가 국내 최초개발의 주역이 된 김윤근박사는 PCB의 장래를 이렇게
진단
한다."전자제품이 소형화 정밀화되고 회로망의 간격이 좁아져 더욱 얇은 동박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우리가 개발한 동박두께는 18~35μ인데, 민생용으론 35μ, 산업용으론 18μ 동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미국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획기적으로 개량했다. 미숙아의 생리기능을 알기 위하여 CT스캔이라는 X선 장치나 초음파
진단
장치가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미숙아의 작고 민감한 폐에 알맞는, 산소를 계속 불어넣어주는 인공호흡장치도 개발되었다. 또 미숙아의 생체기능을 감시하고 유지하기 위해 컴퓨터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 ...
암
진단
에 탁월한 효과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집어낸다는 장점이 있다 .이 물질을 주사놓으면 정확히 암부위로 가기 때문에 암
진단
에 유효한 것이다.이종두실장은 방사능에 대한 일반의 과민반응을 걱정하면서 자신이 개발한 방사성동위원소와 관련된 문제점을 지적했다."국내에서는 1대뿐인 이 35억원짜리 사이클로트론을 오전에는 치료용으로 ... ...
두손으로 가슴을 치는 사연은? 고릴라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모두 죽었다. 이때 동물원장 '하겐베크'씨는 사망원인을 '향수병'에 의한 것이라고
진단
했다.마운틴고릴라는 아프리카의 중심부에 살고 있는데 탐험가 '스피크'가 처음 소개했다. 그가 나일강 상류에 갔다가 원주민들로부터 "무서운 얼굴을 한 사람 닮은 괴물이 있다"는 말을 들었던 것이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약을 꼭 챙겨 복용했다. 그런데 귀국후 감기에 걸린것 같아 가까운 병원에 갔다.
진단
결과도 감기인것 같다고 하여 병원의 지시대로 항생물질등 약을 복용했다. 그러나 여전히 열이 내리지 않았다. 다른 병원에 가보아도 역시 마찬기지였다. 그러는 동안에 뭔가 심상치않아 종합병원에가 검사를 ... ...
동경의 에너지 핵 융합 발전의 가능성 점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고온으로 플라즈마를 가열해야 하며 따라서 플라즈마 가열기술 및 플라즈마의 성질,
진단
을 위한 플라즈마 물리학이 필요하게 되었다.계산에 의하면 플라즈마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핵융합 반응에서 오는 에너지가 더 크기 위해서는, 플라즈마의 온도(T), 밀도(n)및 플라즈마를 일정시간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출혈열 환자를
진단
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 세계최초로 유행성출혈열의 혈청
진단
법을 수립한 것이다.1976년3월부터 우리는 이 새로운 발견을 학회에 발표할 준비를 시작하였다. 그때 나와 같이 3년간 고생한 이평우조교는 상기된 얼굴로 나를 쳐다보면서 "선생님! 드디어 성공한 것 같습니다. 197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