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그 이상이 걸리기도 합니다. 김동옥 연구원만의 논문 읽기 노하우를 알려준다면?논문을
처음
읽는 건 정말 어렵습니다. 논문을 읽어 가면서 점차 익숙해지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두 가지 비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논문의 저자와 소속을 같이 읽는 방법입니다. 그러다 보면 나중엔 저자 이름만 봐도 ... ...
엘리트 교육, 자이언트 지원으로 스마트공장 시대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각 공정의 데이터가 수집되는 장면이었다. 박 단장은 “2019년 12억 원을 들여 동남권에서
처음
으로 교육용 스마트랩을 대학 내에 구축했다”며 “2021년 신설된 스마트기계융합공학전공 학생들은 모두 이곳에서 실습하며 스마트제조시스템과 요소 기술을 익힐 수 있다”고 말했다. 최고 수준의 ... ...
[특집] 기네스 북에서 찾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이 수를 적는 것은 불가능해요. 구골이라는 단위는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캐스너가
처음
소개했어요. 그는 10100을 뭐라고 부를지 고민하다 9살 조카에게 물었고, 조카가 대답한 그대로 ‘구골’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해요. 세계 최대 검색 엔진인 ‘구글’의 이름이 바로 구골에서 비롯됐습니다.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곡을 썼다고 해요. 다른 수열과 달리 개미수열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논리로 구성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다음 항에 들어갈 숫자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수열에 관심이 많은 안 작곡가는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한 곡을 만들기도 했습니다.곡을 작곡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안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이 이론에 나오는 방정식은 조건에 따라 두 가지 부등식을 만족하는데, 이에 따라 우주가
처음
생겼을 때 물질은 없고 빛만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죠. 호킹은 21세라는 젊은 나이에 루게릭병을 앓기 시작했습니다. 병세는 점점 더 악화돼 휠체어에서 벗어날 수도, 말을 할 수도 없는 몸이 됐죠. ... ...
[4컷 만화] 헥헥, 무거워! 지구에게 너무 무거운 인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연구팀은 2020년을 지나면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 온 인공물의 총질량이 지구 역사상
처음
으로 전 세계 생물의 총질량을 넘을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문헌 조사와 위성을 활용한 원격 관측, 모델링을 통해 1900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 생물(인간이 키우는 가축을 포함한 각종 동식물)의 ...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과학동아를 본 기간은?초등학교 1학년 때 누나의 동네 친구네 놀러 가서 과학동아를
처음
접했다. 과학을 매우 좋아해서 과학동아를 구독하던 그 형은 카이스트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공부하고 있다. 성인이 되고 나서도 과학동아를 보고 싶을 때마다 사서 보고 있다.Q2 과학동아에서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생명활동 등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모아 사용하는 기술이다. 1954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처음
제안된 개념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태양전지, 풍력발전소 등 친환경 발전도 에너지 하베스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제로 연구 초기에는 태양열처럼 자연의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했다. 하지만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12월 8일 영국은 90세 할머니에게, 14일 미국은 뉴욕의 한 종합병원 간호사에게 백신을
처음
접종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21년 2~3월에 백신을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라디오돈트의 눈 덕분에 진화가 뿜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한 쌍의 다리가 있지. 이 다리를 이용해서 톱니 모양 이빨로 먹이를 먹었단다. 약 100년 전
처음
으로 라디오돈트의 화석이 발견되면서 우리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났어. Q. 너의 눈이 그렇게 좋다면서?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 존 패터슨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작년 12월 2일 호주 캥거루섬의 에뮤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