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수학은 시기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전하는 학문 같아.몰바이데도법 1805년 독일의
천문
학자 몰바이데가 만든 지도법이야. 몰바이데도법으로 만든 지도는 면적의 비율이 실제와 같다는 장점이 있지. 그리는 방법은 적도에 해당하는 긴 지름과 극과 극을 연결하는 중앙경선의 비를 2:1로 한 타원으로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오셨지요. 이후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한편 한국
천문
학회장을 맡으시는 등, 우리나라
천문
학 발전을 위해 노력하셨어요.박사님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관심이 많으셨어요. 그래서 어린이를 위한 책도 많이 쓰셨고 방송도 하셨지요. 예비 우주인이었던 고산 아저씨도 어렸을 때 박사님의 영향을 받아 ... ...
작전명령 ① 대포를 정확하게 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먼 거리를 운동하기 때문에 중력과 공기 저항의 영향을 받아 곡선 형태의 궤적이 돼.
천문
학자로 유명한 갈릴레이는 탄환의 궤적이 포물선이라고 밝혀 낸 사람이야. 다음 그림을 보면서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보자. 발사체의 궤적을 나타낸 그림이야. B에서 쏜 발사체는 발사 직후 서서히 아래로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표정을 짓자, 이번엔 다른 사내가 나섰다.“난 장갑수. 그냥 장도사라고 부르면 돼.
천문
과 역법을 연구하지. 해와 달과 별은 물론 세상 이치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 내게 물어봐. 이래 봬도 태백산에서 100년이나 도를 닦은 몸이라구.”장도사의 목소리에선 허풍이 넘실넘실 흘렀다. 작달만한 키에 ... ...
우리 몸의 칼슘 설명하는 새로운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캐나다 토론토대
천문
학 및 천체물리학과 문대식 교수가 참여했다.초신성 폭발은 그동안
천문
학자들이 크게 2가지 방법으로 설명해 왔다. 하나는 아주 무거운 별의 폭발이고, 다른 하나는 탄소나 산소가 많은 백색왜성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폭발이었다. 태양 질량보다 8배 이상 무거운 별은 중심부의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영국의 물리학자 찰스 윌슨은 1925년 번개의 전기적 구조에 관한 학설을 발표했다. 이른바 ‘윌슨설’이라고 불리는 이 학설에 따르면 이온이 응축된 구름 상층부에서 방 ... 상호 반응 현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4월 14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국립
천문
협회에서 공개됐다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열린 ‘청소년 우주과학캠프’ 행사예요. 이 행사는 2010년 2월 23일부터 26일까지 송암
천문
대, 나로우주센터,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진행됐답니다. 미래 한국 우주과학의 꿈나무들인 140여 명의 어린이가 로켓과 우주과학에 대한 다양한 체험과 강연을 통해 우주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는 ... ...
두 선분 사이의 존재, 각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때까지의 날을 세기도 했다. 이렇게 1년의 날을 정한 뒤 12달로 나누어 달력을 만들면서
천문
학과 역법이 발달했다. 나라마다 1년의 길이가 조금씩 달랐는데 페르시아는 1년을 360일로, 이집트는 365일로 달력을 만들었다. 그 당시 정확한 달은 권력을 의미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는 1년이 365일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실을 알아냈다. 블록 박사는 이 같은 연구결과를 4월 16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국립
천문
협회 미팅에서 발표했다.블럭 박사는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해 방사선과 X선을 방출하는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하는 100개의 은하를 관찰한 결과 이들 중 3분의 1이 새로운 별을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많다. 토성은 2008년 기준으로 60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1655년 네덜란드 물리학자이자
천문
학자인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한 타이탄은 그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다.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니 이름값을 하는 셈이다. 타이탄의 지름은 약 5150km이고 다른 위성들과 달리 엷은 대기층을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