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년"(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수학 교과서 169쪽 중학교 2학년 때는 명제와 그 역에 대한 개념을 공부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이 되면 명제의 역뿐만 아니라, 이와 대우에 대한 개념까지 배웁니다. 논리를 익히기 위해 중학교 2학년 교과서에는 어떤 활동이 준비돼 있을까요? 사실 중학교 2학년 과정은 명제 의 가정과 결론을 ...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서울 은광여고 2학년 윤세영최초라는 수식어가 붙는 창조적 지성들부터 시대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까지, 평범함을 뒤엎는 발자취는 우리 삶에 지표를 던진다. 그들은 세상을 이끄는 변화의 선두에 서서 모두가 안 된다고 한 일을 추진했다. 고집을 굽히지 않고 결국 자신의 주장이 옮음을 ...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선택했다. 이화여대에 입학해 전공으로 화학, 부전공으로 생물을 선택했으나, 대학 4학년이 될 때까지도 계속 공부를 할지, 졸업 후 결혼해서 가정주부로 살지 결정하지 못했다. 그러나 여자도 여자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 자기세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을 바꿔 대학원 입학시험에 도전했다. 꼭 ... ...
- 대신 학교에 가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로봇의 몸으로 학교에 등교하는 건 처음이지만 이 로봇을 조종하는 저 김민철은 벌써 3학년일 걸요? 에이~, 기자라면서 큐비가 집에 있는 사람의 조종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몰랐던 건가요? 이런 걸 바로 ‘텔레커뮤팅’이라고 한다구요!아, 그런거였군요! 그럼 큐비의 이마에서 나오는 영상이 ... ...
- 단원편식증을 이겨 내자!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수학 교과 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까지 계단식으로 돼 있어 전 학년 공부가 다음 학년에도 영향을 미치니까요.만약 어느 한 단원에 집중해 단원편식증이 생기면,대표증상으로는 연산에 대한 자신감 부족 현상과 도형기피증상, 단위에 대한 이해 부족 증상 등이 나타나죠.이현호 선생님의 맞춤 ...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우리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바칼로레아를 앞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열광 속에 그는 소위 말하는 스타 철학자가 됐다. 푸리올은 “철학은 과거에서 출발했지만,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학문”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철학이 살아가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는 ...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플라스마와 처음 만난 건 아마도 대학 3학년 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전공과목으로 플라스마 관련 과목을 수강했다. 그러나 멀게만 느껴지는 이론과 지난한 수식들로 인해 큰 흥미를 못 느꼈다.그러던 어느 날 전공 실험과목 수강 중에 저온 플라스마 발생실험을 했다. 그때 아름답고 마법 같은 ...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용한 반공정 설비에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핵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 2010 극지연구 논술 공모전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녹색성장을 찾다’라는 제목으로 극지와 녹색성장의 관계를 쓴 경기 수원시 경기과학고 1학년 이승훈 군이 받았다. 심사를 맡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종호 박사는 “이승훈 군의 작품이 심사위원들로부터 고루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고등부 금상은 광주과학고 1학년 백부경 군이 ...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참가할 수 있다. 한 학급당 15~20명이 함께 수업을 받는다. 초등학교 3, 4학년이 주 대상이고 수업은 한 주에 한번, 1시간 정도 진행된다. 현재 생활과학교실은 전국 54개 지역 711개 읍·면·동에서 운영되고 있다. 사업이 본격화된 지난 2005년 이후 생활과학교실에 다닌 학생들은 21만 6400여 명 정도다.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