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강연"(으)로 총 1,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를 듣는다 10] “SW 중심사회에 맞는 새로운 대응 필요”2015.05.25
- 육성해야 한다”면서 “SW 친화적 문화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소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SW는 인류역사 상 최고의 기술이라고 하셨는데요, 결국 미래를 변화시키고 책임질 기술이 SW라고 생각하는지요. “SW 기술은 ... ...
- 대학생들이 만든 ‘따뜻한’ 기술로 소외지역 돕는다2015.05.23
- 나눔과기술 공동대표인 김찬중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전 세계 인구 중 90%는 경제적, 기술적으로 고립돼 있는 약자들”이라며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이 소외된 약자들을 위한 기술 개발과 보급에 관심을 가질 때 지속 가능한 미래가 보장될 ... ...
- “저는 웜홀이 있다고 믿습니다”2015.05.20
- 겁니다.”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는 20일 서울디지털포럼(SDF2015)에서 기조강연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최대 흥행작인 영화 ‘인터스텔라’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책임 프로듀서로 영화 제작에 참여한 손 교수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을 ‘크리스’라는 애칭으로 부른다”며 ... ...
- 2014 브라질월드컵 ‘기적의 시축’ 만든 니콜렐리스 교수 2015.05.20
- 뇌파로 로봇팔을 함께 움직이는 실험이 그것이다. 그는 이런 내용을 토대로 20일 기조강연을 한다. “쥐가 생각의 힘으로 로봇팔을 움직인 지 불과 15년 만에 하반신 마비 환자가 로봇 다리를 움직여 시축을 했습니다. 또 이제는 뇌와 뇌를 서로 연결했어요. 앞으로 15년 후엔 또 어떤 발전이 있을까요 ... ...
- 6월, 전 세계 과학저널리스트들이 몰려온다2015.05.12
- 17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위원회를 통해 1년여 이상의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기조강연자로는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 2014년 퓰리처상 수상자인 댄 페이긴 미국 뉴욕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또 1992년 퓰리처상 집중보도 부문을 수상한 데보라 블럼 ... ...
- 시내 한복판에서 벌 키우는 ‘도심양봉’, 괜찮을까2015.05.05
- 등을 통해 전 세계 양봉 관계자들의 참여를 권장하고 있다. 세계 양봉 관련 학자들의 강연과 세미나, 전시회 등의 일정이 진행될 계획이다. 대전시는 시 전역 7곳에 공식적으로 도시양봉장을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다. 설치 장소는 시청, 옛 충남도청 건물, 인재개발원, 농업기술센터, ... ...
- [미래를 듣는다 9]“사회 변화 따라가는 인재로 성장해야” 2015.04.30
- 혁신을 통해 유리컵을 깨고 변화에 맞는 인재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뒤 이 처장과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이번 포럼에 참여한 계기가 있는지요. “최근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사회적 컨센서스(consensus)가 생긴 것 같습니다. 그래서 ...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04.29
- 어디든 달려가는 열혈 청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도마뱀 화석을 연구했으며, 블로그와 강연을 통해 과학의 대중화에 노력하고 있다. stegosaur@hanmail.net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5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 김종훈 회장 “한국 창업기업, IT와 과학기술 융합분야 고민해야”2015.04.29
- ‘창조경제 아이콘’으로 불렸던 김종훈 미국 키스위 모바일 회장은 28일 대전 KAIST에서 강연회를 마친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회장은 박근혜 정부 출범 당시 초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으로 내정됐으나 국내 정치문화에 실망했다며 후보자 임명 보름 만에 사퇴한 인물. ... ...
- [미래를 듣는다 8] “사회 갈등 극복하려면 낮은 수준의 복지 해결해야”2015.04.28
- “남북갈등, 지역갈등, 빈부갈등, 세대갈등을 4대 주요 갈등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강연에서 말했듯 이 갈등을 불러온 원인은 세 가지 정도로 말씀드릴 수 있지요. 우선 압축적 경제발전으로 인한 성장과 복지의 불균형을 들 수 있습니다. 또 승자독식의 경쟁사회기 때문에 생긴 양극화도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