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놀이공원에서 알바하는 연인
팝뉴스
l
2019.10.07
간다. 그런데 옆에는 동물 복장을 한 남자가 있다. 둘은 손을 잡고 같다. 해외 소셜
미디어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이미지다. 어떤 사연일까 많은 네티즌들이 추리를 하는데, 연인이라는 추리가 대세다. 즉 남녀가 같은 놀이 공원에서 알바를 마친 후에 손을 잡고 다정히 걸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 ...
[과학게시판]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양자정보통신,스마트 글래스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 등 통신
미디어
분야 8개 기술을 소개한다고 7일 밝혔다. 이 행사에서 김성운 책임연구원의 '클라우스 통합 스토리지 기술'이 KES 혁신상을, 정환석 책임연구원의 '초저지연 광 액세스' 기술이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 ...
해변에서 발견된 이상한 생명체
팝뉴스
l
2019.10.07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큰 화제가 된 이미지다. 도대체 정체가 뭘까. 바다 괴물까지는 아니어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이상한 생명체인 것은 아닐까. 많은 네티즌들이 궁금해했다. 그런데 이 이상하게 생긴 생명체는 우리와도 아주 친근한 편이다. 바로 우리가 즐겨 먹는 오징어 알이다.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교수실 출신의 또 다른 천재로 광유전학 개발에도 공을 세운 에드워드 보이든 MIT
미디어
랩 교수가 2015년 처음 선보였다. 2016년 정 교수와 박정윤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이 쥐의 뇌를 4배 키우는 데 성공했고, 2017년 보이든 교수와 장재범 KAIST 교수팀이 얇게 저민 쥐의 뇌 조직을 20배까지 ... ...
집을 빼앗긴 멍멍이
팝뉴스
l
2019.10.03
개가 더 불쌍한 것은 고양이의 자세 때문이다. 기지개를 켜고 있다.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많은 네티즌들은 개의 입장을 안타깝게 여긴다. 툭치거나 슬쩍 밀어내도 될 것으로, 개는 소심하게 바라만 볼 뿐이다. “평화주의 반련견”이라며 칭찬을 하는 댓글도 더러 ... ...
친절은 감동을 준다
팝뉴스
l
2019.10.02
제공 위는 최근 해외 소셜
미디어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이미지인데 의미가 깊다는 평가다. 친절한 행동이 상대는 물론이고 많은 제 3자까지 행복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다시 입증하는 사진이다. 사진은 영국 버밍엄에 거주하는 한 남성이 트위터에 공개했다. 호수에 갔는데 출입문 위에 장미와 ... ...
테슬라 CEO 머스크 "인공지능이 소셜
미디어
조작할 것"
연합뉴스
l
2019.09.28
데 적용되지 않는다면 그건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AI가 궁극적으로 소셜
미디어
를 조작하는 데 쓰일 것이라는 경고다. 그는 이어 계속된 트윗 답글에서 "익명의 로봇 군단을 면밀히 조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빠르게 진화한다면 무언가 나타날 것"이라고 알듯 말듯한 경고를 ... ...
[2019과학기자대회]“과학기술 신뢰도 높지만 언론 더 친절해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과학언론에 대한 철학의 부재 현상이 현재 과학언론의 위기를 불러왔다는 견해와
미디어
변화 속에서 과학언론 수용성에 대한 대규모 객관적 데이터 조사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현안이 터질 때마다 과학자들과 전문가들도 책임감을 갖고 목소리를 내야 하며 과학언론의 가치는 언론과 ... ...
금발 여성의 정체는?
팝뉴스
l
2019.09.26
제공 최근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큰 웃음을 주면서 주목 받은 사진이다. 남자와 여자가 어디론가 가고 있다. 금발인 여성에게 남자가 다정한 눈빛을 보낸다. 계속 고개를 돌리고 집중한다. 금발 여성은 남자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게 분명하다. 그런데 앞에서 보니 금발 여성은 사람이 ... ...
예상 못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원인은 바이러스의 생존력과 감염력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있다. 매우 안정적인 바이러스로 다양한 매개체에서 오래 감염력을 보존한다. 위키
미디어
제공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기 파주시와 인천 강화에까지 상륙했다. 24일 다섯 번째 확진 사례가 나온 데 이어 25일 강화도의 다른 농장에서도 의심 사례가 접수돼 현재 조사 중이다. 정부가 총력으로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