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요
뉴스
"
전통요
"(으)로 총 1,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총명한 세자, 어머니의 영향으로 결국…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의릉의 배치도. 쌍릉이지만 좌우배치가 아닌 전후능설이라는 것이 독특하다. - 이종호 박사 제공 의릉(懿陵)은 제 20대 경종(1720∼1724)과 계비 선의왕후(1705~1730) 어씨의 능(陵)으로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다. 경종은 숙종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한국사에서 큰 파란을 일으킨 여인으로 꼽히는 ... ...
죽어서도 나란히 누워있는 왕과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강릉의 문무인석 - 이종호 박사 제공 강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마련한 쌍봉릉이며, 두 릉 모두 병풍석을 둘렀고 12칸의 난간석으로 연결되었다. 봉분의 봉토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석(引石)에 화문(花紋)을 장식한 것이 이색적이다. 대체로 태릉과 마찬가지로 설 ... ...
"홍삼, 역시 우리 것이 최고여~"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우리나라의 홍삼 제조방법과 부항, 피내침 요법이 국제 표준안으로 채택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전통의학분야 국제표준화 기술위원회 ‘ISO TC249’ 제4차 총회에서 홍삼제법과 부항, 침구요법 등 우리나라가 제안한 3가지가 신규 국제표준안으로 채택됐다고 10일 밝 ... ...
“망각이 정신건강에 좋아… 옛 기억을 지우세요”
동아일보
l
2013.05.29
[동아일보] 기네스 ‘기억력 기록’ 보유 카츠 방한 500자리 숫자 한번 듣고 기억해내 “망각이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이전 기억을 지워야 뇌에 새로운 것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생깁니다.” 500자리 숫자를 한 번 듣고 기억해내 기억력 분야 기네스 기록 보유자인 이스라엘의 에란 카츠 씨(48·사 ... ...
관리 소홀로 산탄총 세례 받은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5.27
진종(좌)과 효순왕후(우)의 릉 - 이종호 박사 제공 원래 정원군은 왕이 아니므로 원제(園制)인 육경원으로 조성되었지만 왕으로 추존되어 왕릉제(王陵制)로 석물(石物)을 바뀌었다. 육경원을 의미하는 비석의 토대가 2008년에 발견되어 비각 옆에 전시해있는데 비석도 언젠가 발견될 것으로 추정 ... ...
[따뜻한 공존 메세나]“첨단기술과 예술적 감성이 만났다”
동아일보
l
2013.05.27
[동아일보] 아티스트 창의적 작품으로 즐거움 전달 기술과 예술의 만남은 언제나 적잖은 흥분을 불러일으킨다. 자동차의 첨단기술에 예술적 감성이 더해졌을 때의 시너지 효과는 그래서 더 클 수밖에 없다. 자동차 회사들이 이를 모를 리 없다. 현대자동차도 이를 간파하고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을 ... ...
[최형국의 무예 이야기]조선시대 화약 제조
동아일보
l
2013.05.24
[동아일보] 처마밑-화장실앞 흙 모아 화약원료 추출 ‘중노동’ 혹자는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라고 말한다. 그만큼 전쟁은 쉼 없이 일어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 곳곳에서 잔혹한 투쟁이 진행 중이다. 인류의 전쟁사는 여러 가지 신무기의 개발로 전환점을 맞이했다. 그중 가장 중요하고 ... ...
옛 장인의 손끝을 디지털로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관람객이 터치패드로 이뤄진 제어 시스템을 이용해 은제도금주자의 세세한 부분까지 살펴보고 있다. - 리움 제공 12세기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은제도금주자(주전자).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품인 이 작품은 현재 남아 있는 유일한 고려시대 은제 주자로 연꽃 위에 봉황이 올려진 화려한 ... ...
원주율 π를 알면 간단해요!
동아일보
l
2013.05.23
[동아일보] [신문과 놀자!/생각이 크는 수학] 바퀴가 굴러간 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아린이가 아빠와 함께 택시를 타면서 물었습니다. “아빠, 숭례문에는 왜 가는 거예요?” “2008년 불에 타서 훼손됐던 숭례문이 5년 만에 예전 모습으로 복구됐기 때문에 보러 가는 거란다.” “숭례문이 불타 ... ...
광해군과 정원군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김포 장릉 배치도 - 이종호 박사 제공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는 장릉은 인조의 부모인 원종(1580~1619)과 인헌왕후(1578~1626) 구씨를 모신 능이다. 원종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 정원군으로 태도가 신중하고 효성과 우애가 남달라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1604년 임진왜란 중 왕을 호종(扈從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