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이 경우는 공동수상이 아니라 따로따로 받았다. 즉 1974년 경제학상을 받은 스웨덴의 경제
학자
군나르 뮈르달(Gnnar Myrdal)과 1982년 평화상을 받은 알바(Alva) 뮈르달 부부다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
IBS
l
2014.10.13
씨는 대학졸업 후 3년간 인재컨설팅 분야에서 근무한 경력자. 하지만 어릴 적 꿈이 물리
학자
였을 만큼 이전부터 과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지난해 11월 전 직장에서 퇴사하고 여유가 생겨 과학 관련 책을 읽으며 기회가 되면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그러다 취업 사이트에서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
IBS
l
2014.10.10
방안을 추진할 것입니다. 또한 IBS를 세계적인 연구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외국
학자
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IBS를 방문하도록 하여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여가겠습니다. 다양한 인적교류를 통하여 IBS에서 신선한 아이디어들이 창출되고 교환되는 거점연구소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뇌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다는 사실에 대해 말이다." 과
학자
들은 눈으로 보고 나서야 우리의 뇌가 얼마나 대단한 작품인지 깨달았다. 지금 우리가 지닌 연구방법론의 수준에 비교했을 때 뇌의 복잡함과 정교함에 압도당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코끼리를 더듬던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멸종시기는 4만여 년 전으로 수정돼야 한다. - 네이처 제공 영국 옥스퍼드대의 고고
학자
탐 하이엄 교수는 고고학이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 왔다. 즉 시료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게 아니기 때문에 ... ...
어느 줄기세포
학자
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가득 차 있었다”며 “그의 실현된 아이디어와 아직 실현되지 못한 아이디어가 차세대 과
학자
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희망한다”고 글을 맺었다. 사사이 박사는 죽기 전 줄기세포에서 소뇌를 만드는 연구를 야심차게 진행하고 있었다고 한다.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바이러스 사고가 실제 발생했는데, 그 과정이 정말 영화속의 한 장면이다. 바이러스
학자
지오프리 플랫은 한 달 째 수단에서 보내온 시료에서 바이러스의 실체를 밝히는 연구를 극도로 조심해가면서 수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11월 5일 아침,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보기 위해 실험동물에 시료를 ... ...
따루와 박석재의 별밤 오디세이 [제7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7.30
나타났다. 핀란드에서 온 오로라 공주 따루 살미넨, 대한민국의 유쾌한 천문
학자
박석재 박사! 두 MC가 쏟아내는 온갖 잡담과 별을 향한 뒷이야기! 우리나라 유일의 고품격 천문프로그램, 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따루와 박석재의 별밤 오디세이 [제7편] - (주)동아사이언스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일어나지 않아 지금은 수술 전도사가 된 사연을 소개하고 있다. 위비 교수는 “신경
학자
들조차 뇌전증 수술의 이익과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는 것 같다”며 자신이 동료들과 만든 인터넷 툴을 이용해 수술 여부를 판단하는데 참고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뇌전증과 관련해 또 다른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①] 우주로부터의 선물, 태양광
동아사이언스
l
2014.07.22
된 ‘voltaic’이라는 말이 합쳐져서 만들어졌다. 태양광발전은 1839년 프랑스의 과
학자
‘에드몽 베크렐(Alexandre-Edmond Becquerel, 1820~1891)’이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를 발견한 것이 그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1883년 ‘찰스 프리츠(Charles Fritts, 1850~1903)’가 셀레늄(Se) 반도체에 금을 코팅해 1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