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21,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접착제 사용해 도구 만든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202
30만년 전에서 3만년 전까지 살았다고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이 현생 인류의 조상인 호모사피엔스에 비해 지적 능력이 떨어져 지구에서 사라졌을까. 최근 화석에 남겨진 네안 ... 이 기술은 네안데르탈인이 개발한 것이 아니라 호모사피엔스의 것을 본 떴을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 ...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02
현재 기술로는 8천만달러를 들여 1년에 1억분의 1g 정도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반물질
수
백g이 드는 가까운 별까지의 여행도 아직은 시기상조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SF소설에나 나오는 반물질 추진 로켓이 현실화되는데 앞으로 50-1백년 정도 걸린다고 전망한다.한편 반물질은 10-15년 정도 지나면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02
사람 혀를 대신할
수
있는 전자혀가 개발됐다는 소식이 ‘네이처’ 1월 9일자에 보도됐다. 전자혀를 개발한 주역은 브라질 상 카를루스에 있는 엠브라파 농업연구소의 안 ... 김종학 이사는“위스키 20종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위 여부를 2분 이내에 판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02
금성탐사는 화려한 화성탐사에 가려있었다. 미국은 쓰다 남은 탐사선을 보냈고 카메라조차 실지 않기도 했다. 반면 옛소련은 숱하게 지옥같은 표면에 착륙까지 시도했고 끝내 ... 금성탐사가 시작되고 22년만에 지옥의 행성 금성에서 인류는 오렌지색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었던 것이다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02
과거로부터 어떻게 이어져 왔는가를 보여주고 다시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를 살아갈
수
있는 해답을 제시한다는 것이 디지털 복원의 진정한 의의가 아닐까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02
MEMS가 바이오와 만났다.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빠른 시간 안에 자동으로 실험해주는 초소형칩, 인체 내에 삽입돼
수
술하지 않고도 진단·치료하는 캡슐형 내시경 ...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로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생명공학연구 패러다임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 ...
자연의 정교한
수
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02
벌은
수
많은 알과 꿀을 저장하기 위해 육각기둥의 집을 짓는다. 그런데 왜 하필 육각기둥일까. 그 까닭을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의 도형문제로 풀어본다.인간생활의 기본 ... 정삼각형보다 정사각형에, 그리고 정사각형보다 정육각형에 더 많은 구슬이 들어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02
표적이 되곤 했다. 민간에서도 태줄이나 태반을 말려서 보관함으로써 자녀들이 무병장
수
하기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사람들은 태반 속에 무한한 자양분과 치유의 효력이 있다고 믿었다. 한편 외국에도 태반과 관련된 풍속이 있다. 케냐의 가쁘란 종족은 태반을 난로가 놓인 바닥에 묻는데,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02
라부아지에의 부인 마담 라부아지에는 19세기 과학계의 풍운아 럼포드 백작과 또 한번의 결혼을 통해 라부아지에와 못다 이룬 과학에 대한 열정을 표현 ... 하나의 길을 보여줬다. 하지만 오늘날 마담 라부아지에 럼포드가 되지 않아도 과학을 할
수
있다는 사실로 만족하는 사람이 있을까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02
)×2달의 시직경을 구하면, 사진 찍은 날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도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그림2)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 지구의 반지름(6378.14 km) + 달의 반지름(1737.4 km)/tan(달의 시직경/2)올해 중 가장 크기가 작은 보름달은 10월 21일에 뜬다. 똑같은 장비로 2월 28일과 10월 21일 보름달을 촬영해 .. ...
이전
1393
1394
1395
1396
1397
1398
1399
1400
1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