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1,8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02
Terra)는 크기가 1천x1천5백㎞로 동 서 북의 세방향이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 산맥이
고도
가 11㎞로 가장 높은데 이곳에서는 용암이 흘러 내린 흔적도 보인다.남반구는 대부분 낮고 평탄한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곳은 크레이터들로 덮여 있다. 크레이터들은 크기가 1백㎞에서 1㎞ 것까지 ... ...
1. 전자전
과학동아
l
199102
때문에 상대방의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다.이외에도 모든 전투기와 미사일에는
고도
의 전자장비가 부착돼 군사위성이나 조기경보기 또는 조인트 스타스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 목표물을 하나의 버튼으로 산산조각내는 것이다 ... ...
2. 전투기
과학동아
l
199102
B2전략폭격기에 비해서는 구식이지만 최대 항속거리 1만㎞로 대륙간 왕복이 가능하며
고도
1만3천9백m 상공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어 적의 방공권 밖에서 공격이 가능하다. 시속 9백52㎞로 날며 한번에 27t의 폭탄을 퍼붓는 대형폭격기.■ FA18페만에 출동한 미군의 항공모함으로부터 발진한 전투기. ... ...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02
30음, 내장 음색 1백14개, 76개의 건반과 기타 컨트롤 스위치 등 미디 마스타키보드로서
고도
의 기능도 갖추었다.음원방식이 RS-PCM 방식인 U-20이 있는데 음색을 샘플링 한 것을 기초로 사용하였으므로 음질이 실제 악기소리에 상당히 가까운 기종이다. 내장된 2개의 슬롯에 음색 데이터가 들어있는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01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많은 학습을 통해 사과의 공통점을 알고 있으므로
고도
의 유연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NN은 패턴처리 같은 분야의 일을 할 때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퍼지와 NN의 두 장점, 즉 논리적 표현(퍼지)과 유연성(NN)을 결합시키면 효율이 높은 지식처리가 가능해진다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01
오는 적정 노출의 결정이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따로 시골이나 산으로 가지 않
고도
주변의 풍경과 함께 쉽게 구도를 잡을 수 있으므로 일반 사진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많이 권해보고 싶다. 이 경우 예상되는 노출을 기준으로 앞뒤로 여러장을 촬영해 가장 잘 된 것을 뽑고, 이때의 데이터를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01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의 대도시인 런던권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고도
의 정보통신서비스가 런던권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고소득을 보장하는 정보통신 관련직업에 대한 취업기회도 런던권을 중심으로 생기는 경향을 보여 기존의 발전지역인 런던권과 낙후지역과의 발전격차가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01
없는 죽은 세계이다. 이는 마치 옛날 흔적이 잘 보존돼 있으나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는
고도
(古都)를 보는 것과 마찬가지다.수성은 또한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수성의 근일점은 1백년마다 약 43″(초) 동쪽으로 이동하는데, 이 값은 뉴턴의 역학 이론이 예측하는 것보다 ... ...
지진 예측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9101
첨단과학이
고도
로 발달한 현대에도 인간의 마음대로 하지못하는 것이 자연재해다. 그중에서도 방지는 커녕 예측도 제대로 못해 항상 '닭 쫓던 개 지붕쳐다 보는 격'이 됐던 것이 지진이다. 지난해에도 이란에서 진도 7.7의 강진이 발생해 수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지진계가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12
옛일을 순식간에 생각해낼 수 있을까. 실로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이 질문은
고도
로 발달된 현재의 분자생물학 지식으로도 답변할 수 없다. 만약 기억현상에 참여하고 있는 유전자들이 있다면 그 산물인 기억단백질이 어떻게 오랜 기간 파괴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었을까. 또 기억과 직접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