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거냐고? 내가 살짝 들여다보니 번식 기간 동안 망가지지 않은 둥지가 얼마나 되는지, 각 둥지별로 생존한 새끼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고 있더라. 어떤 둥지에서는 새끼 2마리가 부화해서 둥지를 떠날 때까지 모두 다 생존하는데, 어떤 둥지에서는 한 마리만 살아남기도 해. 안타깝게도 새끼가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작용해 일어나는 기억 활동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우리가 삶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방추상얼굴영역이 손상되면 친숙한 사람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실인증(prosopagnosia)’을 앓을 수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가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진 품종을 육종하기가 훨씬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만약 표준 게놈 지도가 없다면 각 품종을 일일이 교배시키고 장기간 재배해 특성을 확인했을 것이다. 최 교수는 “보리뿐만 아니라 고추, 감자, 토마토 등 90가지가 넘는 식물 게놈의 해독이 완료돼 언제든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며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석탑은 1척이 약 25cm인 ‘남조척’이 기준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층은 동서남북 각 면이 3칸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 칸을 나누는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약 2.5m로 10척이다. 석탑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사리장엄구’가 나온 심주석★은 가로, 세로의 길이가 1m로 4척이고, 높이는 75cm로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기를 통해 족제비 간 감염을 일으켰다는 연구결과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각각 게재됐다. 흔히 특정 바이러스가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지를 파악할 때 족제비의 감염 여부로 대신 확인한다. 포유류인 데다가 사람의 호흡기와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당시 미국의 생물안보를 위한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7.44.5.390). 그는 지난해 성형외과 전문의와 일반 대중 290명에게 ‘현재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연예인’과 그 특징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연예인은 김태희, 전지현, 설현, 혜리 등 한국에서 활동하는 배우나 가수 등 여성연예인 39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얼굴이 작고, 턱은 U자나 V자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말도 안 되는 모델을 세우고, 많은 경우, 어쩌면 대부분의 경우 틀리지만, 끊임없이 생각하고 질문한다”고. 바로 이런 점이 생체시계 발견을 이끈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임정훈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RNA 번역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자시계 및 루게릭 병의 조절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못한다. 자기 몸속의 복제자를 퍼뜨리고자 일을 한다. 복제자는 행동하지도, 세상을 지각하지도,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로부터 내빼지도 않는다. 복제자는 이 모든 일을 하는 운반자를 만든다.”(번역서 410~411쪽) 복잡한 적응은 유전자의 이득을 위해 진화한다는 ‘유전자의 눈 관점(gene’s-eye view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서 있을 때보다 균형을 잘 잡습니다. 이전 과학자들은 비법이 근육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5월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홍학은 한 다리로 서서 잘 때 근육을 쓰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홍학이 자고 있을 때 관절을 연구했습니다. 이때 몸의 움직임이 매우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기 때문에 기술을 개발하다 보면 물류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할 기회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학과 통찰력이 섞인 셔틀타요는 구체적이면서도 큰 미래를 그리고 있었다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