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d라이브러리
"
경로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정치적인 위세에 밀리는 예는 어느 나라에서도 흔히 있는 일이다. 문제는 그것이 어떤
경로
로 빨리 시정되는가에 있다.보수화한 관료들이 항상 주장하는 그들의 표어가 있다. "그런 것 없을 때에도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살았다." 바꾸어 말하면 "컴퓨터없을 때도 잘 살았다"는 말씀이다. 그러나 그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공공부문의 기술은 이전하겠다는 다짐을 받아냈지만 아직 어떤 기술을 어떠한
경로
를 통해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준비가 없는 상태다.발전의 새로운 모델 만들어야지구환경이라는 거대한 맥락의 파고를 뒤늦게 알아차렸고 선진국일 수도 개도국일 수도 없는 입장때문에 여전히 ...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유발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관련해 지불되는 각종 비용도 연간 2백억달러를 헤아린다.당뇨병이 매우 복잡한 전파
경로
를 가진 병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아마도 이 질환을 일으키게 하는 몇몇 유전자가 우리의 염색체 내에 존재할 것이다. '2백가족들' 프로그램은 바로 그 문제의 유전자를 찾아내기 위한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멀지않아 광고의 홍수에 묻혀버리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낳게 하고 있다. 바이러스 전파
경로
가 되기도또한 게시판을 이용한 신종사기극도 가끔 발생한다. 인기있는 게임기를 싸게 판다고 광고를 내고 선불을 받은 후 도망쳐 버린 일이 지난해 어느 통신망에서 일어나 '신용'을 전제로 하는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정자를 주입함으로써 수정의 가능성을 높인다. 요즈음은 정자가 난자에 이르는 모든
경로
를 생략하고 여성에게서 채취한 난자를 시험관에서 정자와 결합시켜 수정에 성공한 수정란을 자궁에 직접 착상시키는 체외수정법(in vitro fertilization)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시험관아기가 생산되고 ... ...
우주 암물질의 비밀규명 박차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혜성인데 자신의 중력으로 감마선을 굴절시켜 이동
경로
를 두갈래로 나눈다. 이
경로
차는 결국 지구에 닿는 시간의 차로 귀결되는데 앞선 것이 ${10}^{-17}$~${10}^{-20}$초 정도 일찍 닿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구드가 세운 가설이 실제로도 증명된다면 암물질은 태양질량의 ${10}^{-13}$~${10}^{-16}$ 배가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현생인류의 진화과정은 스트링거 박사의 주장보다 훨씬 더 복잡해 여러가지 상이한
경로
를 따라 이뤄졌고, 고대세계의 다른 지역과 얽혀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스라엘에서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5만년동안 공존하고 있었으며, 두 종족은 지능수준이나 문화수준이 동일했다고 주장한다.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부분은 컴퓨터사용법을 잘 몰랐거나 기계적인 고장에 기인한다.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경로
는 디스켓과 통신망 두가지 뿐이다. 즉 통신망으로 파일을 받을 때와 낯선 디스켓만 조심하면 바이러스는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87년경 바이러스 피해가 첫 보고 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컴퓨터바이러스의 ... ...
(3) 발암 위험성 높은 포장재 남용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일반소매점으로 납품되는 과정도 비위생적이기는 매한가지다. 이러한 '위생홀대'의 유통
경로
를 갖고 있는 우리의 실정에 미뤄볼 때 유통구조가 먼저 정착되지 않는한 유통기한만을 적도록 하는 것은 너무도 무모하고 부당한 처사라 생각된다. 설령 유통기한이 경과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뜻밖이었습니다. 학생들 교육하는데 많이 활용할 생각입니다.박창재 저는 철새의 이동
경로
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북극권에서 오는 것도 있겠고 북위 6, 70°에서 번식하는 종, 또 북위 50°부근에서 번식하는 것도 있겠지요. 철새는 일반적으로는 낮에는 햇빛을 보고 이동한다고 하고 밤에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