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장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최신 제법으로 제조한 '朝の露'화장수는 …"이고 보면 이미 임진왜란(1592년) 무렵에
고도
의 기술로 화장품이 제조되고 있었던 것 같다.조선시대 사람들이 사용했던 화장품과 화장도구의 종류, 그리고 조선시대의 화장관념을 알아볼 수 있는 소설이 한편 있다. '여용국평란기'라는 한글로 된 소설이 ...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들어갔다. 같은 산줄기에 속한 두 지역은 거리로 따져보면 대략 1㎞가 안되지만 해발
고도
는 7백-8백m 정도 차이가 난다. 또한 이승복 생가터 일대는 기념관 건립 후 관광객의 급증으로 인위적 손길이 비교적 많이 닿은 곳이기 때문에 두 지역간의 생태적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도 확인하려는 의도였다 ... ...
실수로 태어난 대히트 발명품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해를 거듭할수록 그의 발명품을 원하는 기업은 늘어갔다. 이 발명과 때를 같이해 일본의
고도
성장이 이루어졌고, 플라스틱 제조업이 전성기를 맞게 된 때문이었다. 그의 사업은 급성장했고, 노구치란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다.한편 안전유리를 발명한 프랑스의 과학자 에두아르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달라진다. 지상에서 2백-1천㎞ 저궤도에서는 지구를 한바퀴 도는데 약 1시간 반이 걸리고
고도
가 1만㎞가 되면 12시간, 3만6천㎞가 되면 24시간이 걸린다. 이를 지구정지궤도라 부른다. 지상에서 보면 인공위성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은 이 궤도에 자기 나라 소유의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데 성공했다. 우주는 결코 인간에게 너그럽지 않았으나, 인간의 도전은 이를 극복하
고도
남았다.어포지모터 이외에도 태양전지판이 제대로 펴지지 않아 고물이 돼버린 예도 있다. 인공위성은 우주공간에서 스스로 살아가기 위한 동력이 필요하다. 물론 궤도를 도는 힘은 지구중력이 제공하지만 ... ...
대형사고 대비, 선진국 이렇게 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이상과 같은 7명의 참모 외에도 의사결정을 위해 과학자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이나
고도
의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과학지원관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 ...
5 전세계 단일권 이동통신 꿈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역할을 하는 정도였다면, 현재나 미래의 위성은 위성체 내의 통신처리 장치를 지능화해
고도
의 통신 처리 기능을 가지도록 연구되고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위성을 개발해야 한다.둘째는 지역(국제) 통신위성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궁화위성은 국제용이 아니라 국내용이다. 이미 ... ...
슈메이커-레비혜성 목성충돌시 3단계 광도변화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의해 고온화된 가스가 위로 솟구쳤다. 이 가스덩어리는 1분 후에 지구에서도 볼 수 있는
고도
에 도달했다(2단계). 위로 솟구친 가스의 온도는 2천-4천K에 달했지만, 급속히 냉각돼 수분 후에는 수백 K로 낮아졌다.충돌 순간으로부터 6-7분이 지나면서 가스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과 동시에 다시 ... ...
4 CATV와 주도권다툼 치열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KBS MBC SBS 지역 민방).이와같은 방법은 송신소의 안테나
고도
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으므로 수신 가능한 지역이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공중파방송은 같은 방송이면서도 지역별로 다른 채널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또 수신 가능한 지역 내에서도 지형구조나 건물에 의한 ... ...
물과 건강 7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등이 살 수 있고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4급수 이상이 되면 마실 물로 쓰기 위해
고도
정수처리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먹는 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급수의 수질을 유지해야 한다.급수나 BOD와 같은 용어는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