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시작했다. 은행과 우체국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손님에게 내년 달력을 나눠주고, 멋진 그림을 더한 새 달력이 판매대를 가득 메운다. 하지만 새 달력 구하기를 차일피일 미룬 사람에겐 새해가 밝아도 여전히 작년 달력뿐이다. 날짜와 요일이 고정돼 있다면 어떨까. 적어도 해마다 새 달력을 구하는 ... ...
- 초등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때 어떤 것도 참고하지 않고 본인만의 아이디어로 창작 설계를 해도 좋다.❷ 아래 그림처럼 피타고라스 퍼즐이 될 수 있는 사례를 찾아 각자 설계도를 완성한다. 이때 모눈종이의 눈금 수를 잘 세면 길이를 재지 않고 직관적으로 각 조각의 넓이를 확인할 수 있다.❶ 개인별 완성작 중에서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그는 DNA의 특성을 이용해 이를 한 번에 연산할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22쪽 그림 참조). 그가 제시한 방법에 따르면 사람이 하는 일은 각 도시, 비행편에 해당하는 염기서열을 정해주고 제 시간에 DNA 분해 효소를 넣어주는 것뿐이다. 기존의 컴퓨터에서는 NP에 속하는 문제지만,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꼬리 길이가 다르다. 프테로닥틸루스의 꼬리는 매우 짧고 디모르포돈은 길다(왼쪽 그림). 긴 꼬리는 비행을 할 때 몸의 방향을 돌리는 데 사용된다. 비행에 유용한데 왜 프테로닥틸루스의 꼬리는 짧을까?디모르포돈은 프테로닥틸루스보다 4000만 년 먼저 산 원시 익룡이다. 디모르포돈과 같은 원시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프로그램 성공의 관건”이라고 말했다.봉사단이 진행한 프로그램은 함께 춤을 추고, 그림을 그리는 것 등이었다. 겉보기엔 그냥 노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봉사단원들의 진심이 담긴 고민과 아이들을 위한 배려가 곳곳에 묻어 있었다. 그 결과 짧은 시간이었음에도 학생들에게 작은 변화가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원숭이의 수와 양의 수를 세었을 때 그 차이가 항상 1을 넘지 않게 할 수 있을까? 만약 그림과 같이 나열돼 있다면 3의 배수와 6의 배수에서 양이 2마리 더 많아 골고루 섞여 있지 않다. 하지만 총 11마리가 있다면 모든 부분 수열에서 1을 넘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즉 골고루 섞이게 배열할 수 있다 ...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현을 이등분한다. 또한 현의 수직이등분선 OM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그림은 신라 시대의 유물인 연화문수막새의 일부다. 연화문수막새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서로 다른 세 점을 잡아 각각 A, B, C라고 하자. 그리고 현 AB와 현 BC의 수직이등분선을 각각 그린다. 두 수직이등분선이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또 다른 강한 빛을 추가하면 거꾸로 780nm만 흡수하지 않는 형태로 그래프가 달라진다(2번 그림 실선). 780nm를 주위로 마치 깊은 계곡이 생긴 것 같은 모양이다. 원래 100% 가까이 흡수되던 780nm가 이제는 100% 투과되는 투명한 상태로 변한다.파장에 따른 빛의 흡수율 그래프가 두 개의 날카로운 봉우리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할 때 나오는 함수 중 하나. 그래프로 그리면 위(인류 진화에 따른대뇌화 지수)그림처럼 나타난다.]버거 박사팀은 이와 마찬가지로 호모 날레디의 대뇌화 지수를 계산했더니 약 2.4였다. 신체적인 생김새는 호모 속에 속하지만 지능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견줄 만큼 낮은 셈이다.연구팀은 지능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 지점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착각해요. 그래서 도망치기 위해 빠르게 비행경로를 바꾸지요. 연구팀은 1초에 7500장의 사진을 찍는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해 초파리가 비행 방향을 바꿀 때의 모습을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