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d라이브러리
"
바퀴
"(으)로 총 1,52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해서 태양이 빙산 뒤로 지는 법은 절대로 없다. 태양은 황도상을 워낙 서서히(1년에 1
바퀴
) 운동하기 때문에 δ가 하루만에 표가 나도록 바뀌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춘분 때(δ=0˚) 지평선에 걸려 있던 태양은 δ값이 증가 할수록 서서히 고도를 높이며 석달 뒤인 하지 때 최고 고도인 h=23.5˚에 ... ...
옛 것이 새 것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바퀴
를 회전시키는 기발한 착상이다. 소리의 진동으로 진동판을 움직여 그 힘으로 관성
바퀴
를 돌리는 원리다. 당시의 기술로는 실용화할 수 없어 결국 에디슨의 노트 속에서 잠자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 이제 누군가 한번쯤 도전해 봄직 하다.넷째, 태양열 에너지를 동력으로 한 발명으로서 지름 3. ...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그를 사로잡았다.전쟁직후의 어수선함 속에서는 나라의 동맥도 만신창이가 됐다. 기차
바퀴
의 브레이크노릇을 하는 선철이 철도청보다는 암시장과 주물소에 더 많고 지금의 베어링 대신 썼던 모사와 면사로 만든 기름뭉치는 군불거리로 시장에서 공공연히 팔렸다. 부속을 제대로 못갖추고 달리던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단순히 '박혀'있는데 천구가 일주운동을 하느라고 동쪽에서부터 서쪽으로 하루에 한
바퀴
씩 회전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그러면 지구상의 여러 곳에 위치한 관측자에 대한 천구의 일주운동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그림2)(그림3)(그림4)속에 있는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지구풍」호가 과연 순조로운 공중항해를 해낼 수 있을까?헬륨기구를 타고 지구를 한
바퀴
일주하려는 계획이 현재 추진되고 있다. 이 계획의 공식명칭은 '지구풍'(Earthwinds) 프로젝트.그 과정에서 지구의 대기상태를 조사하고 점점 더 파괴되고 있는 오존층의 현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승무원은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30인승 이상 되는 큰 배를 전세 내 함께 탐사를 진행했다. 충무항을 출발 거제도를 한
바퀴
돌면서 아비가마우지 큰재갈매기 괭이갈매기 바다쇠오리 바다비오리 등을 탐사했다.탐사결과 거제도 북쪽 해안에서는 갈매기류 이외에 다른 철새를 찾기 힘들었으나 남쪽 해안에는 그런대로 아비를 비롯 ... ...
바퀴
벌레, 눈에 띈 마리수의 16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부엌에서
바퀴
벌레 한마리가 발견된다면 그 주변에는 얼마나 많은 수의
바퀴
벌레가 살고 있을까. 그 수는 12마리에서 16마리 정도일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 했던 가네야마 연구원은 "이 실험결과로
바퀴
가 발견된 수만 세면 주변에 있는 대충의
바퀴
숫자를 짐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바퀴
와 노견의 측면이 심하게 부딪치면 노견의 잔디나 작은 돌조각 등이 끼게 된다. 이는
바퀴
의 옆부위(sidewall)와 노견간의 마찰이 엄청나게 커져 순간적으로 타이어와 림 사이의 틈이 벌어지기 때문이다.스키드마크나 YAW마크를 남긴 타이어에는 마모된 흔적이 나타나 있기 쉬우나 몇차례 더 구르고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붙어 있어서
바퀴
가 회전하면 로드는 전후로 움직인다. 이것은 캠과 달리 로드를 움직여
바퀴
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아르키메데스 나사나사도 아르키메데스와 관계가 있는 도구 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알려져 있는 나사 중 가장 오래된 것이 아르키메데스의 나사라 불리는 물공급용 스크루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00년대에 이미 완성돼 부유한 지주들의 노리개로 이용됐다. 이와 같은 초기의 로봇은 톱니
바퀴
로 된 복잡한 장치로 움직였다. 전자제어 로봇은 20세기가 되면서부터 발달해 지금은 거의 대부분의 공장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로봇은 과학소설에 나오는 말하고 듣고 사고하는 로봇과는 거리가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