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시작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한편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의 김규찬 박사팀은 한국인 수
백
명의 특정 부위 염기서열을 모두 결정해 한국인 특이의 SNP를 발굴하고 각 염색체의 일배체형을 결정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생명공학벤처회사인 마크로젠은 동북아시아 국가들과 연합해 우리 민족과 ... ...
주가변동 해석하는 마이너리티 게임의 법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갖고 있다. 이런 정보들은 이번 주에는 어떤 판단을 내릴지 기준이 되는 자료가 된다.1
백
명의 사람들은 매주 몇명의 사람들이 왔는가에 대한 같은 정보를 갖고 있으면서도 판단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결국 어떤 사람은 술집에 가고 어떤 사람은 가지 않는다. 마치 교통방송을 듣고 우회하는 ...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들었고 이 실험은 결국 성공했다. 이렇게 그가 개발한 ‘소프트레이저 탈착법’은 단
백
질 같은 생체고분자를 간단하게 분석해 신약개발과 암 조기진단에 획기적인 길을 열어 이번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다.또한 다나카 연구원이 입사 4년만에 후일 노벨상으로 이어지는 놀라운 연구를 할 수 있었던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생체분자의 연구가 가능하게 됐다. 펜 교수와 다나카의 단
백
질 질량분석 방법은 최근 단
백
질 체학(proteomics)라는 학문을 여는데 결정적 기여를했으며, 이는 새로운 약품의 개발과 유방암, 전립선암 등의 난치병 극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궁남지의 목간에서는 일본에만 자라는 삼나무로 만든 목간이 하나 확인돼 당시 일본과
백
제의 관계를 짐작케하는 중요한 자료가 됐다. 그 외 우리의 것은 아니지만 전라남도 신안 앞바다에서 1984년에 인양한 중국과 일본을 왕래하던 무역선에서는 ‘지치3년6월1일’(至治三年六月一日)이라는 글씨가 ... ...
최장수 여성 장관의 비결은 과학자 경력 김명자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글씨들로 가득찬 액자가 걸려있다. 최장수 여성장관 기록 경신 기념으로 환경부 직원 2
백
여명이 축하의 글을 남긴 것이다. 어떤 내용이 제일 마음에 드냐는 질문에 김 장관은 선뜻 ‘강인함과 부드러움이 절묘하게 만나 큰 꽃을 피운다’는 글귀를 지목하고는 다소 멋쩍은 표정을 지으며 웃는다. 김 ... ...
자가조립하는 나노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나노 연결망을 만들려고 했다. 연구팀은 먼저 반도체 식각 기술로 너비 1
백
nm, 높이 3
백
nm 크기의 실리콘 기둥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 구조물을 제작했다. 그런 후 이 나노 구조물 위에서 철 또는 코발트 촉매를 이용한 화학 증기 침전법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켰다. 그 결과, 나노 구조물의 ... ...
2. 산유국의 꿈 폐기물에서 일군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공정에서는 이 점을 이용해 폐플라스틱을 두단계로 나눠 녹인다. 즉 반응기를 먼저 3
백
℃ 정도로 가열시켜 이때 발생되는 유독한 염산가스를 일차적으로 제거한다. 다음은 4
백
-4
백
50℃의 온도에서 나머지 원료를 완전히 녹인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잔류물의 생성량이 증가하고 이때 생성된 잔류물은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표면 위에 떠다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베니스 운하의 수면 변화를 알 수 있었습니다. 1
백
여점 이상의 그림을 토대로 카무포 박사는 베니스의 바닷물이 매년 2.7mm씩 증가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놀라운 것은 1871년 이후 이뤄진 공식 수위 측정자료로 분석한 결과도 이와 근접하는 매년 2.4mm의 ... ...
2. 영재고 진학의 지름길 과학영재교육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내년에 신입생이 입학하고, 영재학급은 아직 시범 운영중이며 올 하반기에1
백
34곳을지정·운영키로했다. 그러나 아직 일선학교에서 과학영재 학급을 운영 하는데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그래서 이 3각 구도 중에서 본격적으로 교육이 이뤄지는 곳은 과학영재교육원이라고 볼 수 있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