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d라이브러리
"
변형
"(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어느 게임 서버보다도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게임뿐 아니라 게임 줄거리를
변형
시킨 패치 파일과 네티즌들이 주고받는 다양한 게임 비법을 얻을 수 있다. 이곳을 이용하려면 일단 게임 프로그램을 준비한 후 자신이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한다. 그리고 멀티플레이로 게임을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어느 것이
변형
된 작물인지 알 수 없는 점도 큰 문제다. 미국에서는 천연산 작물과
변형
된 작물을 아예 섞어서 자국과 외국에 팔기 때문에 겉으로 봐서는 구별이 어렵다. 정 밀 검사를 거친다 해도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정확히 판별하기 어렵다는게 관련자의 평이다. 천 연산 제품에도 외래의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불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영국 웨일스의 물리학자 앨큐비에르는 시공간을 임의로
변형
시킴으로써 초광속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원리적으로 증명하는데 성공했다. 방법은 간단하다. 시공간을 우주선의 뒤쪽으로 엄청나게 팽창시키면 우주선이 몇분 전에 출발한 우주 기지는 수광년이나 멀어져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아론의 한계를 뛰어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처럼 미적인 평가기준에 의해
변형
을 판단한 것은 결코 아니다. 아론이나 엠미 역시 자신의 작업을 심미적인 기준으로 평가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이론가인 미국의 존 서얼 교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 ...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무엇일까. 그것은 아연이 다른 어떤 금속보다 음극으로 적당하지만 충전 시에 형태가
변형
되고 아연극 주변에 불순물이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따라서 2차전지의 전극에는 충방전 특성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한다. 근래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리튬이온전지의 리튬이다. 리튬은 지구상에서 가장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잃어버린 CERN은 단독으로 힉스입자를 찾아나설 수밖에 없었다.미국은 테바트론을
변형
해 초전도초가속기를 만들 수가 없었기 때문에 돈이 많이 들어갔다. 테바트론 가속링의 둘레가 6km로 작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CERN에는 그동안 전자와 양전자를 가속시켜온 둘레가 27km인 거대전자-양전자가속기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준비를 하고 있다. 비행기에서 로켓을 발사하는 페가수스로켓을
변형
한 미국 OSC사의 토러스 로켓이 바로 그것. 또한 미국내에는 저궤도용 위성 발사체 시장을 노리는 벤처기업들이 탄생하고 있다.이러한 시장변화기에 국가가 주도적으로 나서 새로운 개념의 로켓 개발을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수학자 반트젤(Wantzel, 1814-1848)은 대수학으로부터 비롯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약간
변형
된 표현이기는 하지만).[정리]실수 a 가 유클리드 작도(자와 콤파스만 씀)가 가능하다면 a 를 근으로 갖는 유리계수 다항식이 존재하고 이러한 다항식들의 최소차수는 2의 멱수(제곱수)들, 즉 2k(k=0, 1, 2, 3...)이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하면 보다 오랫동안 효소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구조를
변형
시켜 이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설계도면을 작성해 취향에 맞는 집을 짓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래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을 원하는 대로 만들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지리라 본다.헤모글로빈과 ... ...
2. 고래가 바다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시작했다. 이빨고래는 조상인 육식동물이 먹이를 잡아먹던 방법을 바다생활에 맞게
변형
한 반면, 수염고래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터득했다.이빨고래와 수염고래는 남극해에 처음 나타났을 때부터 뚜렷이 구분됐다. 두 부류의 고래는 모두 두개골이 겹쳐지면서 콧구멍이 뒤쪽으로 이동해 갔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