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DNA가 잘리고 나면 그 부분에 자연스럽게 붙는다. 이를 ‘상동직접수선’이라고 부른다(아래 그림). 그러면 DNA가 잘린 부분을 수선할 때 변이가 없는 외부 DNA를 주형으로 복제하게 돼 정상 DNA로 교정된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는 이 외부 DNA 없이 정자의 변이 유전자가 교정됐다. 외부 DNA가 없다면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리고 흙에서 회충과 편충, 간디스토마 등 기생충 알을 발견했다. 특히 경복궁 담장 아래에서는 흙 1g당 최대 165개까지 발견됐다. 서 교수는 “채소를 키우는 데 인분을 비료로 사용했거나, 15~17세기 인구가 급증하면서 분뇨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추정했다. 민물 갑각류 등 날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주에 나가는 건 처음이었다. 머리 위로 붉은 땅과 감자 같은 위성이 보였고, 나는 위아래가 뒤집혔다는 생각을 내내 떨치지 못했다. 내 숨소리가 너무 크게 들려서 이러다 과호흡증후군이 오는 것 아닐까 걱정이 되었다. “그들이 잘 모시고 갈 겁니다.”선장이 무선통신으로 말했다.“돌아갈 때는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일본의 종이 작가 미호코 타치바나가 설계한 ‘꼬인 종이 타워’예요. 트위스터는 아래에 보이는 그림➌과 같은 다면체 모양의 층이 겹겹이 쌓여서 탑을 이루는 형태예요. 정육각형을 상상해 보세요. 그 위에 여섯 개의 피라미드를 가로로 눕혀요. 그 다음 정육각형 각 변에 피라미드 6개 각각의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백두산의 응력장(stress field)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백두산 아래 약 600km 지점에는 일본에서부터 파고들어온 해양지각이 있는데, 해양지각이 미는 힘의 영향을 받는 영역이 응력장이다. 핵실험이 응력장을 흔들어서 백두산에 산재한 단층들이 움직이면 추가로 규모 3.0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너스레도 떨었다. 그리고는 두 번째 방법으로 고양이처럼 손가락을 펼쳐 아래로 향하게 한 뒤 컵의 윗부분을 감싸 쥐고 걸으라고 제시했다. 한 씨는 “한국에서는 나이가 어리면 연구를 못할 거란 편견이 있다는 걸 느끼곤 했는데, 꼭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니라, 걷고 동작할 때 나는 소리도 영화에서 들었던 것과 흡사하지요. 궁금한 독자는 아래의 QR코드를 스캔해 보세요. 메소드-2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두 발로 서 있고, 두 발로 걷는다는 거예요. 로봇을 2족 보행하도록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아주 어려워서, 발표하자마자 전세계 언론의 주목을 ...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지하다가 몸을 숨겨야 할 필요가 생기면 0.2초 만에 피부 위에 원통형 돌기를 세운다(아래 사진). 유럽의 한 오징어 종은 최소 9개 그룹의 피부 돌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로저 한론 미국 우즈홀 해양생물 연구소 박사는 “두족류는 몸을 보호할 만한 껍데기가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자 의수가 닿는 부위에 ‘전극(electrode)’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그러면 전극은 바로 아래 운동신경세포가 만들어내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전자 의수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가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어떤 신경에서 신호가 발생한 것인지를 파악한 뒤 손목이나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폭죽처럼 터져 나오던 신선한 발상들을 그러모아서 복제자의 선택이라는 개념적 우산 아래에서 탄탄하게 통합시켰다.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발상은 물론 해밀턴이 1964년 발표한 ‘포괄 적합도 이론’이었다. 복제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더 많이 남길 수만 있다면 자신이 당장 들어 있는 운반자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