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천
지원군
물자
리소스
자원병
지원병
물품
d라이브러리
"
자원
"(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4. 앳된 얼굴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보편적인 특성이다. 즉 여성이 짝을 고를 때 남성의 건강이나 친절함도 중요하게 보지만
자원
제공력과 보호 능력, 원숙한 나이도 중요한 판단기준인 것이다. 따라서 남성의 동안이 여성의 동안만큼 상대방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여성이 동안인 남성을 특별히 선호하는 ... ...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렸을 때 교육인적
자원
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APEC IT전시관에 U-러닝이 실현된 미래교육 현장을 마련했다.미래 가정에서 디지털TV와 화상카메라를 이용해 원격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미래 교실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구축한 ... ...
日 독도 수로측량 계획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마련이다. 독도 주변에는 굉장한 양의 생물
자원
과 에너지
자원
이 있다. 특히 광물
자원
으로 메탄하이드레이트와 해양심층수가 주목된다.메탄하이드레이트는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이 얼음처럼 굳은 고체 상태로 그 자체가 에너지원이 되며 석유가 묻혀 있는지를 알려 주는 지표가 되는 중요한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척추고생물학자 도미다 박사는 일본에서 처음 발견된 용각류 뼈를 소개했다.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의 이융남 박사는 작은 구학포의 용각류 발자국 보행열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골격과 발자국의 진화된 특징, 크기, 서식지로 판단할 때 작은 구학포의 용각류와 전남 해남 우항리에 발자국을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숨어 있어요. 또한 많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생물들도 가득하지요. 탐사는 이런
자원
과 생물들을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또한 빛이 없는 곳에 사는 심해 생물들의 비밀을 풀게 되면 지구에 어떻게 생명체가 탄생했는지도 알 수 있게 될 것으로기대하고 있답니다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한국의 상황이 비슷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스위스는 국토 면적이 작고 천연
자원
이 부족해 교육과 연구 분야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해왔다. 이 점은 한국도 마찬가지. 그러나 아직까지 유럽에서는 아시아로 진출하는 관문으로 중국이나 인도를 점찍은 나라들이 많다.“유럽은 아시아 진출의 ... ...
소나무가 죽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없애고 삼나무 등 다른 나무를 심어 숲을 가꾸었습니다. 또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자원
봉사단을 조직하여 소나무 지키기에 나섰지요.소나무재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나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이에요.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는 병든 소나무에 알을 낳기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해저에 매장되어 있을지 모를 석유와 해양
자원
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당시 해저
자원
을 개발하기 위해 해저기지가 건설되며 이를 보호하는 로보트 태권V가 나오는 시리즈 제3탄 ‘수중특공대’에서 당시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이렇듯 ‘로보트 태권V’는 한국 애니메이션 역사를 함께 한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가뭄에 대한 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 물이 언제 얼마나 와서 어디로 가는지 이해하고, 수
자원
시설을 효율적으로 개발, 이용하는 기술은 기본이다. 레스토랑에서 ‘그냥 주는’ 물 한 잔도 소중하다는 걸 알아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물문맹률 제로에 도전하라 기획1. 물 한 잔 갖고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땀을 뻘뻘 흘리며 산에 올라 샘에서 물을 떠 마신다. 갈증이 싹 가신다. 그런데 샘에서는 어떻게 물이 계속 솟아날까.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뒤 아주 천천히 다시 땅위로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하에 스며든 물이 바로 지하수다. 땅속에는 어느 곳에나 물이 있다. 그래서 지하수를 ‘숨겨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