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붙어 있는 센서가 내가 먹은 음식의 정보나 포크 사용 횟수, 사용 간격 등 식생활 정보를 정리해 스마트폰으로 알려 준다.스마트 스쿠터주행정보는 물론 배터리 양이나 부품 상태 등 스쿠터의 상태를 체크해 스마트폰으로 알려 준다.스마트 카운전자 없이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독일 벤츠사의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방법은 무엇일까? 단, 캡슐은 꼭 섞어 먹어야 한다.최적의 식단이 갖춰야 할 조건을 정리해 보자. ➊ 빨간 캡슐($a$개)과 파란 캡슐($b$개)을 모두 먹어야 한다.➋ 탄수화물(50$a$+10$b$)은 400g 이상 섭취해야 한다.➌ 단백질(10$a$+20$b$)은 80g 이상 섭취해야 한다.➍ 칼슘(20$a$+80$b$)은 800mg 이상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관측망, 위성 자료 등을 통해 황사를 관측한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통계적으로 처리해 정리한다. 그러면 황사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다. 황사 발생량은 흙의 종류와 상태, 식물의 양, 비가 내리는 양과 바람의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이런 요소와 황사 발생의 관계를 ... ...
- [생활] 인천 동산중 안정덕 선생님 수학, 글쓰기로 키운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수업이 이뤄지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수업시간엔 안다고 대충 넘어갔지만 글로 정리하다보니 이해가 부족한 부분이 군데군데 나타났다. 문제를 풀 땐 특정 내용만 알면 그만이었지만,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더욱 큰 그림을 그릴 줄 알아야 했다. 따로따로 배웠던 수학이 서로 어떤 관계에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용하기 시작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이른바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정해지지만,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거리라는 개념 자체를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 리만 기하학에서 거리는 거리함수 텐서 또는 메트릭 텐서라 부르는 수학적인 양으로 정의된다. 중력은 거리와 ... ...
- [교과연계수업] 과학으로 예방하는 화재, 우리 집을 지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찾아 검색하고, 학생들과 기사를 읽는다 ▶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 정리한다 ▶ 불에 강한 재료에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다 ▶ 생활 속에서 잘못된 전기 사용 습관 때문에 화재가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을 ...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정교하게 다듬었다. 해부학자였던 루는 사람의 몸속 혈관 구조를 연구하면서 이 법칙을 정리할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가지 속 관의 액체 운반 능력은 가지가 갈라져도 변하지 않아야 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가지 성장의 법칙’을 만들었다.빌헬름 루의 ➊ 하나의 중심 ...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거기서 만족하지 못했다. 24세의 젊은 청년 괴델도 그 중 한 명이었다. 괴델은 ‘불완전성 정리’를 통해 ‘참인 모든 명제를 증명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걸 밝혀낸다. 그토록 오랫동안 ‘참과 거짓’을 완벽히 가려내고자 했던 노력이 허탈해지는 순간이었다.(3월호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폴리아의 발견술과 자신이 연구한 인지과학 이론을 더해 다음과 같은 4가지 중요 요소를 정리하고, 생활에 반영하라고 제안했다. 수동이의 등굣길을 관찰하며 마지막으로 발전된 방법은 어떤 내용인지 함께 알아 보자.✚ 수동이의 등굣길, ‘수학으로 생각하기’시작하기 전에 : 이런 훈련은 억지로 ... ...
- [Hot Issue] 2015 프로야구 우승팀은 넥센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승률을 예측하는 공식이다. 득점과 실점에 붙은 지수가 원래는 2였기 때문에 피타고라스 정리와 생김새가 닮았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오랜 연구 끝에 각각의 숫자가 조정됐다. 그렇다면 피타고리안 승률은 어떤 원리로 탄생했을까?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해보자. A라는 팀이 한 경기에서 7점을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