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과학동아 l2003년 07호
- 건설 효과는 막대하다. 기상예보, 해양예보, 어장예보가 정확해진다. 기지 건설의 제안자인 한국해양연구원 이동영 박사는 “한반도를 통과하는 태풍의 40%가 이곳을 지나 10시간 쯤 후에 남해안에 상륙한다”고 말한다. 그만큼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고 정확한 태풍의 진로 예측이 ...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과학동아 l2003년 07호
- 한 모리스 르블랑에게 셜록 홈스 시리즈에 필적할 만한 추리소설을 써보지 않겠느냐고 제안한다. 이를 수락한 르블랑이 1905년 7월 처음 세상에 선보인 작품이 바로 ‘아르센 뤼팽, 체포되다’라는 짤막한 단편이다.이 작품은 발표 즉시 대단한 성공을 거뒀는데,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과학동아 l2003년 06호
- 두 종이 있다. 다이아몬드 박사는 인간을 여기에 포함시켜 제3의 침팬지로 부를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사실 그의 주장은 과학적 증거의 바탕이 없는 일종의 ‘캠페인’이었다. 유전자 비교로 발표된 이번 결과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마련한 셈이다.하지만 굿맨 박사의 결과에 대해 모든 ...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과학동아 l2003년 06호
- 흥미로운 논쟁의 연속이었다. 슈바르츠 박사는 인간과 오랑우탄을 가장 가까운 계통으로 제안했다. 한편 앤드류와 마틴 박사는 침팬지와 고릴라가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갖는다고 보고했고, 그로브 박사는 침팬지와 인간이 더 가깝다고 맞섰다. 이런 논쟁은 1990년대 들어 어느 정도 정리되고 있다. ... ...
- '코어'로 들어가는 방법 제안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정도로 강한 지진(리히터 규모 7.0)의 위력으로 탐사장비가 들어갈 균열을 만드는 방법을 제안했다.이렇게 만들어진 균열에 수천t의 액체 철을 붓고 탐사장비를 넣는다. 탐사장비는 지구의 중력에 의해 점점 깊어지는 균열을 따라 계속 들어갈 수 있다.약 1주일 후면 탐사장비가 외핵에 도달해 지구 ...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상대론적으로 확장하여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성이론을 융합시키기 위해 P A M 디랙이 제안한 이론 G L 디리클레가 등차급수의 항 속에 무수히 많은 소수(素數)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한 급수포텐셜론에서 함수의 개념을 재정립한 근대적 이론 라플라스 방정식에 대한 제1종 경계값 문제로서, G L ...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03년 06호
- 박사는 지구의 정지궤도 대신에 달 표면에 우주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자는 흥미로운 제안을 했다. 달 표면에 설치한 거대한 태양전지 면적의 1% 미만에 불과한 반사경 위성을 지구 주위의 우주 공간에 띄워 달 발전소에서 보내는 마이크로파를 반사해 지구의 원하는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자는 ...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있는데, 에델슈타인 교수팀은 과학위성을 염두에 두고 NASA의 지원을 요청했다. 두번의 제안 끝에 ‘스피어’(SPEAR)라는 이름으로 NASA의 허가를 받았다. 우리의 과학위성 1호가 NASA 쪽에는 스피어로 알려져 있는 셈이다. 2001년 가을 NASA는 과학위성에 25만달러(약 3억원)를 지원했는데, 2002년 여름 ...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지난 1월 유인 미션을 총괄하는 존슨연구소에서 한국이 참여 가능한 10여개의 미션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승무원이 자는 우주막사, 우주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외부 탑재체 장착설비, 국제우주정거장용 운동기구, 외부창고, 우주생활 지원장비 등을 제작하는 일이다. 이들은 ...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처음에 한국동물분류학회에 추진운동을 시작할 것을 제안했어요. 그러나 모두들 처음엔 용기를 못 내다가 그후에 계속 논의돼 마침내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그 결과 1990년 9월에 10개 학회가 함께 심포지엄을 열게 되면서 운동이 시작됐죠.”그 이듬해에 26개 학회와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