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특이
"(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제시해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3월 초 변 교수는 해발 8백-9백m의 위쪽 얼음골 돌밭에서
특이
한 점을 발견했다. 고지대인 이 지역은 아직도 눈이 쌓여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돌밭의 일부 지역에서는 눈이 다 녹아버리고 없었다. 더군다나 그곳에서는 이끼까지 자라나고 있었다. 바로 이 장소가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M4에 속한 많은 별들이 수놓고 있다. 가운데 아래쪽을 유심히 보면 이 행성이 돌고 있는
특이
한 별 한쌍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물질을 양 극으로 뿜어내며 빠른 속도로 자전하고 있는 중성자별이고 나머지 하나는 백색왜성이다. 두 별 모두가 마지막 단계를 맞고 있는 별이다. 최고령 행성이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진귀한 실황공연을 그대로 녹음하는 셈이다.영화에 등장하기까지 한 음향 엔지니어라는
특이
한 직업에 관심이 갈 수 있다. 음향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4년제 대학에서는 주로 전자공학과에서 음향을 연구하는 경우가 있다. 전문대에는 음향과 직접 관련된 학과가 있어서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레일리가 침습과 자율신경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식물신경 과잉자극에 의한 비
특이
적 증후군」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것인데, 생리적으로 무해한 자극이 자율신경계를 거쳐 자극 부위에서만이 아니라 먼 부위까지 병변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자를 구성하는 약 300여 종의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구현으로 이어진다.양자컴퓨팅은 동시에 여러 상태를 갖는 ‘중첩’이라는
특이
한 양자현상을 이용한다. 때문에 정보처리가 현재의 직렬식과는 달리 상당한 양의 정보를 한번에 처리하는 병렬식이 가능하다. 즉 양자컴퓨터는 현재의 슈퍼컴퓨터로 수백년 이상 걸리는 계산을 수초만에 풀어낼 수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동계조직 적합항원 등 외래항원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면역응답을
특이
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이 상태를 획득면역관용이라 한다세포공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한 항체, 즉 클론에서 생산되는 단일항체결정기에 대한 항원 1975년 G 쾰러와 C 밀스타인에 의해 개발되었다탈지모발이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methyl과 acrylic acid의 합성어 녹는점 16℃, 끓는점 1605℃ , 비중 10128(20℃ )의 자극적이고
특이
한 냄새가 있는 무색의 주상결정이다 열가소성(熱可塑性) 합성수지(플라스틱)의 하나 메타크릴산 수지 · 유기유리라고도 한다메타크릴산메틸의 중합에 의해 얻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이 가장 대표 적인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영장류의 진화 과정 동안 다수의 복사본을 만들면서 진화해왔다. 따라서 종마다
특이
한 레트로바이러스의 구조는 종 분화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다.대부분의 레트로바이러스는 3천5백만년 전 신세계원숭이와 구세계원숭이가 갈라진 후, 구세계원숭이의 게놈 내로 삽입돼 오늘날까지 증폭되고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요한 스트라우스 피치카토 폴카는 손가락으로 현악기의 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특이
한 작품입니다. 현악기의 활을 이용하지 않고 음색이 전혀 다른 손가락을 이용해 곡을 연주했을 때 느낌이 어떻게 다른지 감상해보세요.” 연주가 끝난 뒤 현의 진동과 파장의 변화에 대해 간단한 설명이 있었다. ... ...
치매와 에이즈 극복의 지름길 침팬지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프랑스의 마지에르 박사는 말라리아 원충이 간세포로 침입할 때 간세포 표면에 나타나는
특이
한 수용체를 발견했다. ‘CD81’로 명명된 이 수용체를 통해 말라리아 원충이 간세포로 침입하는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수용체가 간염바이러스의 수용체로도 작용한다는 점이다.침팬지는 말라리아뿐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