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징"(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맛있는 한 끼라는 힐링을 선사했다. 쿡방 중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의 특징만 봐도 쿡방이 특히 1인 가구에 어필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집구석에 방치해둔 냉장고를 이용하고(JTBC ‘냉장고를 부탁해’) 만들기 쉬운 밥 반찬을 만들며(tvN ‘집밥 백선생’) TV가 없어도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준에서 생긴다는 것이지 100% 유전된다고 보긴 어렵다.노 : 자손에게 후성유전적 특징을 넘기기 위해서는 세포의 ‘리셋’을 피해야 한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고등동물의 수정란은 부모로부터 받은 후성유전적 표식을 두 번에 걸쳐 지운다. 이를 ‘리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깐깐한 이 과정을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진짜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거죠. 이처럼 도형에 그림자를 만들어, 그 특징을 연구하는 기하학을 사영기하학이라 해요. 이제 수학자들은 다양한 시선에서 기하학을 바라보게 됐어요.사영기하학은 수학자들이 유클리드 기하학에 갇힌 생각을 깨치는 데 큰 영향을 줬답니다. 평면만의 ...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겉보기나 맛이 어떤지 등을 나타낸다.품질 지표의 반응속도식은 식품이 변하는 특징에 따라 다르다. 식품의 변화는 반응속도가 미생물 수나 수분의 양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와 영향을 받는 경우로 크게 2종류다.두 경우에 따라 반응속도식의 모양도 다르다. 품질 지표별로 반응속도식을 2가지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희망은 있다. 신종 감염병은 대개 병원, 그리고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비위생적인 병원 환경으로 인한 감염을 차단하고,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신종 병원체에 대해서 충분히 조사, 연구하고 적절한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예컨대, 강한 인공지능이 약한 인공지능과 다른 대표적인 특징은 ‘나는 로봇이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자의식이다. 만약 과학적으로 자의식을 가진 로봇을 만들 수 있다면, 강한 인공지능이 개발될 가능성도 커진다는 의미다.놀랍게도 이런 연구가 실제로 있다! 2012년에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신호를 보내요. 레이저는 일반적인 빛과 달리 빛의 진행 방향, 파장 등이 가지런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런 레이저를 광섬유에 실어 보내면 1초에 40기가비트(0또는 1의 디지털 신호 400억 개)의 정보를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건 하나의 파장의 빛을 사용할 때고요, 조금씩 파장이 다른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좋은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선생님이 바로 물을 닮은 선생님이다. 김 선생님은 다양한 특징이 있는 아이들에게 스며드는 물이 되려면 마음의 샘을 늘 갈고 닦아야 한다고 했다. 글씨를 쓰는 것은 여유로움을 즐기고 마음을 닦는 방법이다.“정신없이 바쁘다고 급한 일만 먼저 하다 보면 시간이 ... ...
- [재미] 춤추는 무게 중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안무가는 ‘안무가 얼마나 화려한지’, ‘동작이 얼마나 빠르게 변하는지’ 같은 안무의 특징에 따라 무용수 각각에게 새로운 무게를 매긴다. 무게를 매길 때 지켜야 하는 조건이 있다. 무대 밖에 있는 무용수의 무게는 0이고 시선을 끄는 안무를 하는 무용수일수록 무게가 크다. 이렇게 매긴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얼굴 등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하거나 목소리 인식, 타이핑리듬 인식 등 사용자 행동 특징을 암호로 이용하는 것. 예를 들어, 홍채는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 때 쓰이는 근육인 조임근은 사람마다 다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같을 확률은 10억 분의 1 밖에 되지 않는다.생체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