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원유를 뽑기 위해 두개의 시추공을 뚫는다. 그런 후
한쪽
에는 물을 집어넣어서 다른
한쪽
에서 원유를 뽑아낸다. 문제는 물과 원유의 경계면이 깔끔하지 않고 여러개의 손가락처럼 울퉁불퉁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유전 속 원유의 상당량을 뽑아내지 못했다. 홍 교수는 수십년간 지속된 이 문제를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밖의 수면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삼베나 무명같은 천의
한쪽
끝을 물에 적시면 물이 곧 삼베나 무명을 타고 퍼지는 것도 모세관 현상이다 종이가 젖어 올라가는 것은 종이 속에 있는 작은 틈이 모세관 역할을 하여 물이 올라 가는 것이다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 ...
네트워크로 해석한 인터넷 대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여러가지다. 하지만 군대식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중심 사령관이 모두 지휘하기 때문에
한쪽
끝에서 다른 끝으로 이동하는 방법은 오직 하나밖에 없다.인터넷은 이 3가지 네트워크 구조 중 항공노선 네트워크에 속한다. 이 사실은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팔루소스 3형제가 1999년 발표한 논문에서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말할 때도 있다 이에 반해 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를 기준으로 +전압이나 -전압
한쪽
에만 신호가 있는 것을 단극성 혹은 유니폴라(unipolar)라고 한다컴퓨터로 제어되는 중계국을 통해 공중전화회선과 접촉하는 휴대용 무선전화 시스팀 이런 낮은 출력의 무선이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한 도시를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구성하게 된다. 패널을 살펴보면 두 유리판 사이에 액정이 약 4μm 두께로 채워져 있고,
한쪽
의 유리판 위에 TFT와 ITO(투명전극) 가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의 유리 위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돼 있다. 컬러필터는 CRT에서 색깔을 내기 위한 형광체의 역할과 동일하다.컬러화상은 RGB(적색, 녹색, 청색) 세종류의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각을 위상각이라고 한다두 종류의 금속을 고리 모양으로 연결하고
한쪽
접점을 고온으로, 다른 쪽을 저온으로 하면 그 회로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 1821년 독일의 TJ제벡(1770∼1831)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접점 사이에 나타나는 기전력은 금속의 종류와 접점의 온도차에 따라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2002 AA29는 말편자형 궤도의
한쪽
에서 다른
한쪽
까지 움직이는데 95년 걸리며, 95년마다 지구에 근접한다고 말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올해 1월 9일 새벽에 지구에 접근했으며, 접근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12배라고 예측됐다. 이제 2002 AA29는 지구에서 점차 ... ...
자동 조율되는 피아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용해 측정한다. 길모어는 각각의 현에다 2개의 전자석 코일을 감아 두었다. 이 코일
한쪽
에 전류를 홀려 주면 자기력이 발생해 현이 진동하게 된다. 이는 다시 두번째 코일에서 작은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피아노 안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이 전류로 피아노 현의 현재 진동수를 측정해 미리 입력돼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끝없이 붕괴를 일으켜 무한히 작고 조밀한 블랙홀이 된다. 결국 블랙홀은 초신성 폭발 때
한쪽
방향으로 발생한 추진력 덕분에 움직인다는 말이다.GRO J1655-40이 빠른 움직임을 드러낸 최초의 블랙홀은 아니다. 이전에도 우리은하 안을 떠도는 블랙홀이 발견된 적이 있다. VLBA라는 전파망원경 배열과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 신장을 원래 소의 신장 옆에 이식하자 복제 신장은 소변을 만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쪽
에서 복제소에 열광하고 있을 때 전세계는 광우병에 신음했다. 더욱 무서운 것은 광우병에 걸린 소를 인간이 먹을 경우 인간 광우병인 ‘변종 클로이트펠트-야콥병’(vCJD)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1996년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