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답이 틀린다. 거듭제곱을 먼저 한 뒤 나머지 규칙에 따라 계산해야 한다. 즉 (-8)×5-27÷9=(-40)-3=-43이 정확한 답이다. 다음은 드디어 괄호의 등장이다. 수식에서의 괄호는 우선순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괄호가 있을 때는 괄호 안을 먼저 계산해야 한다. 또한 괄호 사이에도 순서가 있어 ()→{}→[] 순으로 ... ...
-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사랑한 캐릭터는?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발표한 캐릭터산업백서에 따르면 상품을 구매할 때 캐릭터가 미치는 영향이 56.7%나 될 정도로 캐릭터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한국이 제2의 고향이라는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월 7일은 한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는 1994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가 소련(현재 러시아)에서 태어난 날입니다.젤마노프 교수는 우리 나이로 23살에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대학교 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습니다. 그리고 26살이 되던 1980년에 박사학위를 받을 정도로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의 중요성, 100번 강조하는 대신 책 1권 추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교수님이 현직 수학 교사, 중학생, IT 개발자, 미술작가 등 직업과 성별, 세대를 뛰어넘는 7인과 교감하며 나눈 아홉 번의 세미나를 생생하게 옮긴 책입니다. “10차원 공간은 무슨 뜻인가요? 좌표축이 열 개나 된다는 의미인가요?” 같이 우리가 궁금해할 질문에 대한 김민형 교수님의 답변을 천천히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영상레이더가 탑재되는데, 최대 해상도가 50cm로, 1m인 아리랑 5호보다 높다. 아리랑 7호는 인공위성이 지표면을 가로세로 격자로 나눠 촬영할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30cm인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목표다.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위성활용부장은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9호
- GROUPS ANALYZED BY A COMPUTER) 남자 버전 파트 1’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유튜브 동영상은 8월 17일 현재 조회수 155만4019회를 기록했습니다. 채널 설명에는 ‘K팝의 톱 보이그룹에서 춤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머신러닝과 수학을 사용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인공지능(AI)으로 군무 ...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때에 해당됩니다. 다행히 올해 일본뇌염 환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8월 17일 기준). 다음으로 위험한 종은 말라리아를 옮기는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입니다. 말라리아 역시 걸리면 약 48시간 주기로 오한과 고열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중국얼룩날개모기는 ... ...
- 푸드파이터의 폭식, 훈련하면 늘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대회에는 유리할지라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2007년 네이선 핫도그 먹기 대회 선수들의 위 크기 변화를 형광 투시 기법으로 관찰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연구팀 역시 “폭식이 반복될 경우 포만감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진다”며 “(폭식을 반복하면) 체중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한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002268117연구팀은 일부 꿀벌에게 이스라엘급성마비바이러스(IAPV)를 감염시킨 뒤 벌집으로 되돌려 보내 그들의 행동을 추적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꿀벌은 다른 꿀벌과 접촉하는 빈도가 정상 꿀벌보다 훨씬 적었다.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특히 확보된 DNA 염기서열 조각들은 절반 이상이 염기 7만 개 이상으로 구성된 매우 긴 조각들이었다. 가장 긴 DNA 염기서열 조각의 길이는 염기가 100만 개에 달했다. 연구팀은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로 얻은 긴 DNA 염기서열 조각과 NGS 기술 등을 활용해 얻은 짧은 DNA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