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2023.10.12
- 아이디어를 나누며 mRNA를 유전자 발현체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함께하게 됐다. 생명공학 및 의학 분야 논문 검색 사이트인 PubMed에 두 사람의 이름을 검색하면 2002년부터 지금까지 무려 33편의 논문을 볼 수 있다. 그 중 눈여겨 봐야할 것은 커리코 부사장이 제1저자와 교신저자로 와이스먼 교수와 ... ...
- 與 "R&D예산 효율화"vs野 "졸속 삭감, 혼란"...과방위 국감 '난타전'2023.10.11
- 의사과학자 양성과정에 대해선 "지역 대학의 의대와는 다른 새 교육과정으로 의학과 공학을 병행학습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이에 "의사과학자는 미래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할 분들이라 생각한다. (설립이) 늦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 ...
- [과기원NOW] GIST,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 AI 로봇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0.11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11일 기초학부 3학년생인 양혜민 씨와 이경은 씨가 전기전자공학 분야 세계 최대 학회인 IEEE의 ‘국제 의료 초음파 분야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자기지도학습 기반 딥러닝 모델을 통해 광음향 현미경의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2023.10.11
- 동안 이룩된 과학 발전의 현실을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환경‧컴퓨터‧로봇공학‧인공지능(AI) 등의 새로운 과학 분야에도 노벨상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상당한 설득력을 발휘하고 있다. 사실 물리‧화학‧생리의학의 구분도 애매해지고 있다. 특히 화학의 경우가 그렇다. 1980년대까지만 ...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⑧전문가들 "낯선 용어 인지도부터 높여야"2023.10.11
- 모두 영어로 'electric field'로, 전하가 힘을 받는 공간을 가리킨다. 그러나 물리학도, 전기공학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두 용어가 완전히 같은 개념임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긴 쉽지 않다. 일각에선 전문용어를 획일적으로 통일하면 어떻겠냐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 ...
- [과기원NOW] DGIST, 박상현 교수 연구팀 美 스탠퍼드대와 공동으로 의료용 AI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0.11
- 박사과정생 (왼쪽부터)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상현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인공지능전공 교수 연구팀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의료 분야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개인정보 및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도 대규모 모델학습이 가능한 연합 학습 AI ... ...
- [특별기고] ①R&D예산 삭감은 '저수지 고갈'시키는 것2023.10.10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2023년에 AI가 주류과학이 되리라 짐작했을 것인가. 수학, 물리학, 공학 등 일견 AI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분야에서 기본 지식과 자질을 닦은 인력들이 AI라는 새로운 학문과 기술을 창출한 것이다. 대학생이 대학원생이 되고, 대학원생이 포스트닥터가 되고, ... ...
- 김빛내리 "가난해도 학비는 내는데…예산 삭감으로 연구 주춤할 것"동아사이언스 l2023.10.06
- 게 김 교수의 전언이다. . 4일부터 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한국생물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한 김 교수는 "기존 연구인력을 내보낼 순 없으니 연구 재료비를 줄일 수 밖에 없다"며 예산 재분배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재료비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 ...
- 미세세포가 '기후위기' 구원투수?…"합성생물학 육성해야"동아사이언스 l2023.10.06
- "미생물이 해낼 수 있는 것에 비해 실현된 것은 아직까지 적은 편"이라며 "생물공학의 더 빠른 발전을 위해선 바이오 파운드리(위탁생산기업)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 ...
- 네이처 "R&D예산 삭감으로 한국 과학계 아우성...젊은층 사기저하 우려"동아사이언스 l2023.10.06
- 한국의 젊은 과학도들의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네이처는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의 젊은 세대에게 다른 분야보다 덜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적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네이처와의 인터뷰에 응한 이동헌 KAIST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R&D 예산 삭감은 (젊은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