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26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2년내 무인 로봇 착륙선 발사…착착 진행되는 달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아르테미스’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 17일 아르테미스 임무의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로
미국
앨라배마 마샬우주비행센터를 선정했다. 로이터 통신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의 유인 달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사업의 일환으로
미국
민간로봇업체인 ... ...
약 48광년 밖 지구형 외계행성 표면 스피처 망원경 직접 관측
연합뉴스
l
2019.08.21
화산 물질로 덮여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 따르면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의 로라 크라이드버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스피처우주망원경을 통해 외계행성 'LHS 3844b'를 관측한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 ...
별과 가까운 '슈퍼지구'에선 생명체 살기 힘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중 하나인 LHS 3844b에 주목했다. 이 행성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차세대 우주 망원경이자 '행성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가진 테스(TESS)가 지난해 활동을 시작하며 처음 발견한 외계 행성들 중 하나다. 지구로부터 49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LHS 3844를 11시간 주기로 돌고 있다. 크기는 지구보다 1.3배 크다. ... ...
美 유인 달 탐사 NASA 마샬우주센터에서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를 선정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24년까지 유인 탐사선을 달에 보내겠다는 NASA ‘아르테미스’ 임무의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로
미국
앨라배마에 위치한 마샬우주비행센터를 선정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마샬우주비행센터는 임무 전체를 ... ...
안구운동 측정해 수면부족 여부 판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에임즈연구센터 연구팀은 미세한 안구운동의 변화를 측정하면 수면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음을 밝혀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생리학저널' 6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병원에서는 수면장애 여부와 수면 질을 진단하기 ... ...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
과학동아
l
2019.08.07
흔적이 있는지 조사할 예정이다.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다음 목적지는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이 될 예정이다. NASA는 태양계 탐사 프로젝트인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타이탄에 보낼 무인 탐사선 ‘드래건플라이(Dragonfly)’ 개발에 착수한다고 6월 27일 발표했다. 토성의 ... ...
'궁극의 저온'을 꿈꾸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꾸린 실험실에서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18년 ‘저온원자실험실(CAL)’을 국제우주정거장에 올렸다. 이곳에서 기존 기록보다 다시 100분의 1 차가운 온도인 1pK의 저온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이곳에서는 지구 중력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원자들이 보다 이상적인 ... ...
73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외계행성 3개 동시 발견… 생존 가능 행성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아래쪽이 TOI 270 행성계의 행성 분포도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항성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TOI 270d의 평균 온도는 약 66도로 추정된다.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온도대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 행성의 경우 대기가 매우 두꺼워 온실효과로 인해 실제로는 온도가 더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다른 연구기관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08년과 2010년 ‘나노세일D’와 ‘나노세일D2’를 발사해 돛을 펼치는 실험을 했지만 둘 다 성공하지 못했다. NASA는 지구 접근 소행성을 탐사하는 데 투입할 우주 돛단배 ‘NEA스카우트’를 새로 기획해 올해 말 발사할 계획이다. ... ...
우주탐사 전초기지 될 달서 물 더 많이, 더 쉽게 확보 가능
연합뉴스
l
2019.07.25
들어 달기지 계획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달 복귀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추진하면서 2024년 첫 착륙 목표지를 남극으로 정한 것도 이곳의 크레이터에 얼음층이 있어 물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물이 인류의 달 복귀 계획에 변수가 될 수 있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