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IL 실패했지만 더 싸고 빠른 우주탐사 모색한 가치있는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점을 축하하고 싶다”고 했다. 지금까지 달 표면 착륙에 성공한 국가. NASA 제공.
천문
학자이자 학술지 ‘사이언스’의 기자로 활동하는 킴벌리 카르티에 박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베레시트의 착륙 실패 소식에 무척 슬펐지만 스페이스IL의 믿기 어려운 여정과 놀라울 정도의 노력이 매우 ... ...
"너무 흐릿해" 블랙홀 관측 이미지는 왜 뿌옇게 보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상상과 이론에만 의존해 묘사했던 블랙홀의 모습을 뛰어넘는데 의의가 있다. 변도영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 확인한 것 외에도 블랙홀의 질량이나 회전 성질(스핀)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도 큰 의미가 있다”며 “추가로 블랙홀 관측 결과가 쌓이면 물질이 블랙홀로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11일 오전, 서울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서 블랙홀 관측의 의의를 설명하는 정태현 한국
천문
연구원 선임연구원. 윤신영 기자 한편 연구자들은 이번 관측의 의의에 대해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블랙홀이라는 ‘극단적 조건’에서 작동하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아인슈타인의 ... ...
[블랙홀 첫 관측]인간이 상상한 각양각색의 블랙홀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and R. van der Marel(STScI) 10일 인류 사상 처음으로 블랙홀의 실제 모습이 공개됐다. 유럽남방
천문
대는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을 통해 관측했던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를 세계 7개국에 동시 생중계로 공개했다. 블랙홀은 중력장이 극단적으로 강한 공간을 뜻하는 말로 엄청나게 강한 중력으로 어떤 ... ...
“다음 목표는 블랙홀 ‘동영상’ 촬영" 한국 전파망원경 참여도 타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관측하면서 이 사실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연구의 학문적 가치에 대해 손봉원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연구를 주도한 연구자는 노벨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가장 보기 어려웠던 초미세 지역에서 발생하는 천체물리학적 현상을 ... ...
'길일 잡고 택배로 자료 보내 첫 영상 만들었다' 블랙홀 첫 관측 뒷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것이 훨씬 빨랐다. 두 연구소로 보내진 블랙홀의 데이터는 ‘상관기’라 불리는
천문
관측에 특화된 슈퍼컴퓨터 통해 분석됐다. 상관기는 수학적 계산으로 잡음 사이에서 미약한 정보 신호를 분리하는 데 쓰이는 전자 장치다.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세계 다른 지역에서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이번 연구에는 세계 각국 13개 기관에서 총 200여 명의 연구자가 참여했다. 한국은
천문
연 소속 연구자 8명이 동아시아관측소 산하 두 전파망원경 집합체의 협력 구성원으로서 참여했다. 한국이 운영하고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과 동아시아우주전파관측망(EAVN)도 연구에 기여했다. 이번 ... ...
[블랙홀 첫 관측]
천문
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EAVN)도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지는 않았지만 EHT 연구에 활용됐다. 정태현
천문
연 전파
천문
본부 연구원은 “사건의 지평선을 관측하고 관련 데이터를 처리 및 보정하는데 참여했다”며 “최종 영상화에도 함께 참여하는 등 한국 연구진도 이번 사건의 지평선 관측에 힘을 보탰다”고 말했다. 이번 ... ...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유럽남방
천문
대(ESO)가 10일 오후 10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의 첫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빛에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고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지 100년이 넘어서야 첫 이미지가 공개되는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확인됐다.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는 1974년 미국국립
천문
대의
천문
학자 브루스 발릭과 로버트 브라운의 관측에 의해 그 존재가 예측됐다. 이 블랙홀은 이후 천체의 운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증명됐다. 2002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궁수자리 A* 근처 별의 운동을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