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추정"(으)로 총 1,5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반대다) 고릴라 조상과 침팬지/사람 공통조상이 먼저 갈라졌다. 게놈 분석으로 추정한 코끼리과 동물의 계통도. 아프리카코끼리의 조상과 매머드/아시아코끼리의 공통조상이 먼저 갈라졌고 그 뒤 매머드와 아시아코끼리가 갈라졌다. 이에 따르면 한 종으로 알고 있었던 아프리카코끼리도 실은 ...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2016.09.12
- 다만 형태와 함께 원소조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데이터를 보면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추정되는 부분에서 티타늄(Ti, 파란색)과 칼륨(K, 보라색)의 그래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농도를 나타내는 세로축은 로그척도다. - 네이처 제공 즉 이 암석에는 원래 금운모라는 광물이 풍부했고 따라서 ...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6.09.04
- 있는 높이 약 5㎞의 ‘아후나 산(Ahuna Mons)’이 10억 년 전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뜨거운 용암을 분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가운 휘발성 액체를 쏟아내는 ‘얼음화산’인 걸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이끈 크리스 러셀 돈 탐사선 책임연구원(캘리포니아대 교수)은 “이번 ...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진파’ 첫 탐지동아사이언스 l2016.08.28
- 프록시마 b의 표면 온도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0~100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도 높은 셈이다. 이전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 중 가장 가까운 것은 지난해 발견된 ‘울프(Wolf) 1061’으로, 우리 태양계에서 14광년 떨어져 있다. 앵글라다에스큐드 교수는 ...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2016.08.16
- 높은, 따라서 체액 균형회복에 도움이 안 되는 액체를 마셨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광유전학 기술을 써서 갈증뉴런의 스위치를 꺼버리면 체액이 줄거나 삼투압이 높은 생리 상태에서도 갈증을 느끼지 않아 물을 찾지 않았다. 즉 몸이 항상성을 벗어나도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는 ...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2016.08.08
- 상-주 연대기 프로젝트’는 2000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그 시기를 기원전 2070년 경으로 추정했다. 이번 대홍수 유적 결과로 그 시기가 조금 더 늦춰진 셈이다. 그래도 3900년 전이므로 여전히 아득한 옛날이다. 사마천은 기원전 108년 아버지 사마담을 이어 천문 달력 기록을 총괄하는 부서의 장관인 ...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동아사이언스 l2016.08.07
- 햇빛을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온도가 높아져 더 많은 곤충을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해바라기라도 히터를 사용해 온도를 높일 경우에는 이전보다 많은 곤충이 모였다. 또 다 큰 해바라기라도 성장 호르몬을 주입하면 태양을 추적하는 활동을 재개하는 것으로 ... ...
- 우주의 비밀 풀기위해 한국에 모인 암흑물질 연구자들IBS l2016.08.02
- 암흑물질 후보 중 하나인 액시온이 강한 자기장과 만나면 광자(빛 입자)로 변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 원리를 이용해 액시온을 찾아낸다는 계획이다. 우선 검출장비 내 설치된 자석에서 약 35~40테슬라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마이크로파 공진기로 라디오 채널을 조절하듯 공진 진동수를 조절하다가 ...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 새들이 사람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벌집털이를 하는 장면을 보고 배워 따라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리고 이 조그만 새는 사람하고만 이런 공동사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꿀을 좋아하는 곰을 파트너로 삼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논문을 보면 사람과 공동작업을 하는 또 다른 야생동물의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찾았다. 둘 다 290년 당나라 역사(618~907년)를 다룬 책이지만 ‘구당서’에는 오로라로 추정되는 ‘백홍’이 두 곳, ‘홍예’가 한 곳 나온 반면 ‘신당서’에는 ‘백홍’이 아홉 곳, ‘홍예’가 한 곳 나왔다. ‘구당서’의 백홍 한 곳과 홍예는 ‘신당서’와 겹치므로 실제 관측 횟수는 백홍이 열 번,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