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목
주시
d라이브러리
"
각광
"(으)로 총 80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10
갓김치를 만들어서 먹음직스럽고 고급스러운 운치를 더했다. 최근 천연염색이 다시
각광
받고 있다. 천연 색은 인공 색처럼 화려하고 진하지는 않지만 순박하고 은은하며 부드럽다. 게다가 염색시 화학재료를 사용하지 않아 항균성도 좋고 피부 트러블이 심한 사람이나 아토피 피부염에도 좋다는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09
전기적 성질이 바뀌지 않아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전자종이 재료로 활용할 수 있어
각광
받고 있다. 연구진은 이런 그래핀이 악취의 원인인 대장균을 죽이는 것을 발견했다.연구팀은 그래핀이 살아 있는 세포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그래핀 산화물로 종이를 제작했다. 종이 위에 박테리아와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09
다른 광원에 비해 빛이 선명하고 응답 속도가 빨라서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
받고 있다. 스포츠와 같이 빠른 동작이 나오는 화면도 매끄럽게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지난 월드컵 때 거리 응원에 쓰인 대형 전광판은 대부분 LED로 만든 것이다. 한편 최근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09
사용하는 평범한 개인에게도 슈퍼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요즘
각광
받는 증강현실은 PC와 스마트폰으로는 처리할 능력이 충분치 않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내 3D 영상의 인식과 분석이 가능하다. 결국 클라우드는 기존의 슈퍼컴퓨팅 또는 대규모 컴퓨팅의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09
지속돼 발광효율이 높습니다.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차세대 조명으로
각광
받고 있죠.” LED전구의 주재료가 바로 윤 교수가 연구하는 화합물반도체다.연구실 이름인 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이란 두 종류 이상의 원소화합물을 차곡차곡 쌓아 결정을 형성해 반도체를 만드는 것을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08
큰 미래 기술중 하나가 음성인식이다. 최근 음성 인식률이 90% 이상 높아지면서 새롭게
각광
받고 있다. 다음과 구글은 스마트폰에서 음성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집 주소처럼 긴 검색도 훌륭하게 인식한다. 여기서도 경험디자인이 적용된다. 화면 우측 상단의 마이크 버튼을 누르고 마치 전화를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08
사용자의 경험은 생생하고 풍부해져 만족감은 더 높아진다.그렇다면 경험디자인은 왜
각광
받고 있을까. 사용자경험 컨설팅 회사인 씽크유저의 오창영 이사는 “점차 기업들의 기술 수준이 비슷해져 더 이상 기술 중심의 제품디자인으로는 차별화를 이룰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민대 ... ...
집적시스템 설계공학
과학동아
l
201008
최근
각광
받는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집적회로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세계 무대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에 대해 알아보자.1.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이란 무엇인가요?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은 여러 반도체 소자를 칩에 모아 하나의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08
최근에는 자연 환경을 그대로 수조 안에 옮겨 놓는 개념인 ‘네이처 아쿠아리움’이
각광
을 받고 있다. 방 안에 들여 놓을 수 있을 정도로 아담한 수조 안에 자연과 비슷한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수조 안 생태계가 스스로 노폐을 제거하며 수질을 유지하는 순환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08
공학자에게 더 필요한 거죠.”실리콘밸리에 도전하다전자산업, 특히 반도체 산업이
각광
받으면서 반도체 디자이너는 공대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분야다. 집적시스템설계 연구실에는 현재 20명 정도의 석박사 과정 학생이 소속돼 있다. 공대에 들어온 많은 학생들의 꿈이 자신만의 기술을 갖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