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갱
함정
트랩
굿
토굴
땅굴
허방다리
d라이브러리
"
구덩이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08
알타미라의 한 동굴을 탐험하던 중 동굴 속
구덩이
에 빠진 딸을 구하기 위해 밧줄을 타고
구덩이
로 내려갔다가 그곳에서 벽화를 발견했던 것이다.이번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 앞바다 해저 유물 발견 역시 우연이었다. 4월 6일 오전 11시경, 전북 부안군 변산면에 사는 어부 조동선씨는 자연산 소라를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08
모양이었으나, 가장 가까운 위성 미란다의 표면에서는 놀라운 광경이 포착됐다. 운석충돌
구덩이
와 골짜기, 도랑과 절벽 등 태양계의 딱딱한 천체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모습이 이 작은 위성에 응축돼 있는 듯 했다. 과거 언젠가 부서졌다가 다시 뭉쳐진 것처럼 보이는 이런 모습은 천왕성에서 일어 ... ...
소행성 2880년 지구와 부딪친다
과학동아
l
200205
경우 TNT 4만4천8백메가톤의 폭발력을 가질 것이다. 육지에 부딪친다면 지름 22km인 충돌
구덩이
(크레이터)를 만들며 충돌지점으로부터 반지름 3백km이내 지역에는 상당한 피해를 줄 것이다. 다행히 소행성 1950DA는 6천7백만년 전 지구와 충돌해 공룡을 멸망시켰다고 믿어지는 소행성보다는 10배 작은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01
H.G 웰스의 소설 속에 나오는 화성인도 존재할 것 같지 않았다. 단지 크레이터(운석충돌
구덩이
)로 덮인 죽음의 별로 보였다. 마리너 4호의 데이터는 지구인에게 화성에 관한 모든 환상을 깨뜨리는 참혹한 것이었다. 옛소련 탐사선만 잡아먹는다?이후 옛소련은 금성탐사에만 전력을 하다가 다시 196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01
것이기 때문이다. 보내온 사진은 달의 지형과 판박이였다. 수성은 크레이터(운석충돌
구덩이
)로 뒤덮인 황량한 달의 모습이었다. 그곳은 지구에서보다 2.5배나 큰 모습의 태양으로부터 뿜어지는 열기로 낮에는 4백67℃나 됐다. 반면 밤에는 -1백83℃에 이르렀다. 온도차는 무려 6백℃ 이상이다. 태양계 ... ...
1백년 전 시베리아 대폭발 새로운 설명 제기
과학동아
l
200112
배후에 혜성이나 소행성이 있지 않은가 하고 의심해왔다. 하지만 충돌에 의해 생겨난
구덩이
(크레이터)도 발견되지 않았고, 여러 조사에서도 외계물체의 파편이 발견되지 않았다 ... ...
소행성 에로스 미스터리 둘
과학동아
l
200111
한점, 물 한줄기 없는 우주공간에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미세한 파편들이 소행성
구덩이
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은 어떤 이유로 인해 파편들이 언덕을 따라 내려갔다는 점을 시사한다. 천문학자들은 정전기의 효과를 가능성으로 들었다. 즉 작은 입자가 햇빛을 받아 정전기를 띠면 떠오르고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08
창밖으로 펼쳐지는 수성의 모습을 처음 보고 깜짝 놀랐다. 표면이 온통 크레이터(충돌
구덩이
) 투성이인 탓에 달에온 듯한 착각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스크린에 자막이 없었다면 우주공간에 나타난 천체는 영락없는 달로 여겼을 것이다. 창밖으로 크레이터를 감상하던 범수는 누군가 옆구리를 찌르는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07
비치는 곳과 비치지 않는 곳의 경계가 뚜렷하다. 이 경계선 부근은 크레이터(운석충돌
구덩이
)의 명암이 가장 뚜렷한 곳이므로 관측하기에 좋다. 그러나 월식이 일어날 때 지구 그림자가 만드는 달 표면의 경계선은 또다른 느낌이다.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부분과 그렇지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
과학동아
l
200107
모아서 지은 책이 바로 ‘하늘의 전령’(Siderius Nuncius)이란 책이다. 이 책에는 달에
구덩이
가 깔려 있고, 산도 있고 평원도 있고, 금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반달이나 초승달처럼 변하며, 목성에는 둘레를 도는 달이 네개나 있다는 갈릴레이의 관측 사실이 적혀 있다. 우리 선조가 시체가 쌓여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