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가능성
d라이브러리
"
그럴 듯함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이것도 모르면 안 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
흘리면 땀이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가기 때문에 열을 식힐 수 있지만, 돼지는
그럴
수 없다. 그래서 돼지는 물이나 흙탕물에 몸을 적셔 더위를 식힌다. 그러니 돼지가 진흙탕에 뒹구는 것도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2. 왜 하필 이름이 ‘돼지’ 일까?생각해 보니 궁금하다. 왜 하필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Ⅳ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있지요.대장이나 위에서 팽창한 가스는 방귀나 트림을 통해 배출하면 되지만, 치아는
그럴
수 없어요. 그러니까 우주인이 되려면 충치도 없어야 하지요. 높은 곳에 올라가 공기가 희박해 지면 판단력이 떨어져요.우주인 후보들은 낮은 기압상태에서 구구단 쓰기 시험을 봤어요. 아무리 쉬운 ... ...
은하수를 건너가는 이삿집을 위한 그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11
몇인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대순항성에 이삿짐을 실으라는 말은 …….“집에는
그럴
만한 물건이 없을 텐데요?”“다들 그렇게 말씀하십니다.”어머니의 따지는 말에, 선임자 쪽이 고개를 끄덕이며 응수했다.“가족 이사에 불법 휴대물을 끼워 넣을 만큼 무모한 분들은 안 계실 테니까 말이죠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과학동아
l
200606
중력에 들어오니 몸은 천근만근처럼 느껴진다. 지구를 떠난 지도 3주가 넘었으니 그도
그럴
만하다. 둔한 우주복을 입고 화성 표면을 걷는 것도 힘든데 축구경기를 해야 한다니 더 ... 몇몇 선수들은 심리적으로도 상당히 약해진 것 같다. 밀폐된 공간에서 한달을 보냈으니
그럴
만하다. 팀 닥터는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부를까요?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몇 가지 추측이 있답니다. 어느 것이 가장
그럴
듯 한가요?①‘설’은‘낯설다’의‘설’에서 왔다!‘아직 익숙하지 않은 날’,‘낯설은 날’에서‘설날’이 되었다. 2006년이 되었는데도 일기 쓸 때 2005년 1월 X일 이라고 쓴 친구들이 많지 않을까?② 설날은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12
파티장. 주머니를 가득 채우는 휴대전화는 옷의 맵시를 떨어뜨리기 일쑤.
그럴
땐 IBM표 액세서리폰을 착용해보자. 귀걸이 넘어로 흘러나오는 감미로운 목소리를 들으며 팔찌의 액정화면으로 상대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선글래스 시어터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눈 앞의 시어터’. 투명창과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수학이라는 친구가 있었어요. 어른들조차 못 풀겠다고 포기한 문제였지만 교수님은 결코
그럴
수 없었어요. 몇 시간이고 한 문제를 잡고 끙끙 대다가 답을 얻었을 때의 기쁨과 성취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답니다. 이처럼 오랫동안 생각하고 머리를 써서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재미를 느낀 교수님은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07
문제가 아닙니다. 설사 완벽한 복제인간을 만드는 기술이 있더라도 한국 과학자들은
그럴
생각이 없습니다. 안 그런가요, 김 소장님?김성체 : 동의합니다. 참, 소개가 늦었군요. 배아줄기세포 권위자인 이배아 박삽니다.수행원 : (이배아와 부시가 인사를 나누는 동안) 다음 일정이 촉박합니다. 이제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어떤 문제는 한달 넘게 해결되지 않았다.
그럴
때는 잠도 제대로 오지 않았다. 김정엽 씨는 “그래도 로봇이 처음 걸었을 때 희열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 맛에 밤새 연구하는 것이 아닐까.인간 닮은 로봇은 꿈을 준다사실 로봇이 꼭 인간의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08
숭배해왔고, 어떤 나라에선 국기에 달랑 빨간 태양 하나만 그려넣는 걸 보면 충분히
그럴
듯한 이야기다. 하늘을 신으로 섬기는 문화는 전인류의 보편적인 전통이었을 것이고 아주 오래도록 하늘이 인격을 가진 존재라고 생각했을 것이다.하늘을 숭배하는 문화가 번성할지는 몰라도 태양, 그 자체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