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치
허비
지출
감손
줄어듦
d라이브러리
"
낭비
"(으)로 총 41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02
개선됐기 때문이다. 교각 역시 경부고속철도의 경우 지나치게 튼튼하게 만들어 자재를
낭비
했다는 분석이 나와 좀 더 효율적인 설계로 바꿨다. 한편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에 있는 부산의 금정터널은 길이가 20.3km에 이르는 국내 최장 터널로 우리나라 토목기술의 우수성을 자랑하고 있다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02
정확한 자세와 강한 스퍼트가 중요하다. 각 부위의 관절을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 힘이
낭비
되지 않도록 한다. 상체를 낮추면 공기 저항을 적게 받아 좋지만 너무 많이 숙이면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하므로 얼음을 지칠 때 효율이 떨어진다.스텝 옮겨도 빙판에 붙어 있는 스케이트 날롱트랙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02
우리가 옳다고 생각했던, 지구를 지키는 행동들이 다른 사람만을 위하는 시간적, 금전적
낭비
였다고 경고한다. 이 책에서는 사람들을 선동하는 지금의 주장들이 어떤 면에서 오류가 있고 거짓됐는지 과학적인 자료를 들어 치밀하게 반박하고 있다.가족이 함께 떠나는 주말 지질 여행한국지구과학회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12
날의 수도 일정하지 않다. 게다가 매년 새로운 달력을 찍어 내야 하기 때문에 지원의
낭비
가 심하다.그레고리력, 이건 안좋다! ❷ 들쭉날쭉한 달어떤 달은 30일이고, 어떤 달은 31일로 되어 있다. 심지어 2월은 28일에 불과하다. 이렇게 들쭉날쭉한 달의 날 수는 시간을 똑같이 나누지 않기 때문에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11
얼마나 확보해야 하는지도 모델링을 세워서 예측해. 너무 부족해도 안 되고 남으면
낭비
가 될 테니까.최근에는 고령자보다 취학 아동이나 그 부모에게 가장 먼저 백신을 접종시키는 게 감염의 확산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연구 결과도 나왔어. 이것도 수학 모델을 이용한 결과지. 이처럼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11
주어지는 액수는 연간 300만 달러(35억 원) 정도다. 세티는 1960년대 이후 줄곧 ‘돈을
낭비
하는 대표적인 사업’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태생적으로 국가 위신이나 자원 확보와 같은 정치·경제적 이득을 얻는 일과는 거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1993년 미국 의회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10
자지라 방송’을 검색하며 동물의 ‘알’이 섞여 있는 문장을 검색 결과에서 걷어내느라
낭비
할 시간을 이들이 아껴주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앞으로는 ‘프랑스의 수도는’이라는 문장을 치면 ‘파리’라는 답을 내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구문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10
비껴가는 신인류일까.너무나 여성스러운 그“여자친구를 사귀는 데 시간과 감정을
낭비
하고 싶지 않아요.”20대 후반의 직장인 초난감(가명) 씨는 연애나 결혼 얘기가 나오면 손사래부터 친다. 대기업에 다니고 외모도 준수한 그지만 도무지 연애에는 관심이 없다. 초 씨는 “결혼을 못 하는 게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10
관리를 제대로 못해 안전사고가 나고 시설물의 수명이 수십 년 짧아지면 그게 오히려 더
낭비
인 셈이죠.”대한토목학회는 2007년과 2008년 사회기반시설 국가자산관리 국제심포지엄을 잇달아 열어 IT를 접목해 대형시설물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일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알렸다. 심포지엄에서는 미래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09
한다.허공에 빛을 쏘아대는 건 에너지 측면에서도 큰
낭비
다. 미국에서만 이렇게
낭비
되는 에너지가 매년 10조 원이 넘는다고 한다. 밤에 갑작스런 조명에 눈이 부셔 앞이 안 보이는 현상도 광공해의 하나다. 지나치게 요란한 광고판이나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보행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