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
닮지 않음
틀림
부동
상이
d라이브러리
"
다름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12
팽창하는 현상을 이용한 온도계다. 물은 1℃ 오르면 부피가 1만분의 1정도씩(온도에 따라
다름
) 늘고 질량을 부피로 나눈 밀도는 그만큼 준다. 밀도가 약간씩 다른 유리공을 만들면 온도에 따라 각기 다른 공을 떠오르게 만들 수 있다. 온도가 높아지면 물의 밀도가 점점 줄어 유리공은 더 많이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08
조금 웃도는 40여기에 불과하다. 체르냐치노 산성의 고분 발굴은 지금 막 시작한 것이나
다름
없다.지난 6월 정석배 교수팀은 다시 체르냐치노 산성으로 떠났다. 지금 이 순간에도 발굴단은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며 발해의 유물을 찾고 있을 것이다. 그들이 올해는 또 어떤 유물을 발굴해 세상을 ... ...
홈즈의 새로운 단짝 '다무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
모임인‘설사모’의 회장‘치양이 독트케’가 특별한 선물을 보내왔다. 선물은
다름
아닌 썰렁 홈즈를 쏙 빼닮은 강아지 한 마리. 그리고 작은 쪽지도 함께 들어 있었다. “이 강아지는 썰렁 홈즈의 단짝이 되어 줄 거예요. 정말 귀엽고 사랑스러운 녀석이랍니다. 다만 조금 많이 먹고 성질이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0 0 5 년의 자동차 세계를 떠올리면 가슴이 콩닥거리곤 하지.이렇게 편지를 보내는 이유는
다름
이 아니라 내가 발명한 자동차를 자랑하기 위해서야.내가 꼭 멋진 자동차를 만든다고 약속했었지?2005년에서의 자동차과학에 대한 경험이 많은 도움이 되었어.거기에다 내 엉뚱한 상상력을 더하고 하니 ... ...
땅만파아의 지구 속 대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3
결국 썰렁 홈즈와 함께 땅을 파고들어가기로 했다. 그런데…. 땅을 파라고 하는 장소가
다름
아닌 썰렁 홈즈의 앞마당이었다.지구 속 구조를 밝혀라!편지에는 다른 내용의 편지도 함께 들어 있었다. “땅을 파려면 지구 내부의 구조 정도는 알아야겠지? 여기 그림 한 장과 문제를 몇 개를 적어 ... ...
미로 왕국의 공주 '이기리 저기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
시계가 있는 벽을 지나 저녁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썰렁 홈즈가 선택한 도구는
다름
아닌 머리빗!!! 하지만 초대를 해 준 미로 왕국의 공주 이기리 저기리나의 고마운 마음을 생각하며 맛있게 먹었다. 평생 기억에 남을 저녁 식사를 마음 속에 간직하며… ... ...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08
당시와 지금의 염색 방법은 과연 어떻게 달라졌을까. 2000년대 패션계의 염색 트렌드는
다름
아닌 ‘디지털’이다.판화에서 컬러프린터로디지털 염색이라. 생소하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컬러프린터를 떠올려보자.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그림을 화면에 띄워 놓고 키보드를 조작하면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6
이탈리아의 과학자‘네가머래도 다비처’의 정체가 밝혀졌다. 그림자 문제를 낸 것은
다름
아닌 아홉 살꼬마. 하지만 그 뒤에는 거대한 검은 조직이 숨어 있었던 것. 그 조직의 이름은‘까마케롬다만드러’. 이제는 그 검은 조직이 다시 썰렁 홈즈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번과는 다른 그림자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마왕‘네가머래도 다비처’의 정체까지 밝혀 냈다. 지구 정복을 꿈꾸었던 그림자 마왕은
다름
아닌 아홉 살 꼬마. 그림자놀이에 푹 빠져서 장난을 치고 싶었다나? 그런데 어떻게 그림자를 마음대로 조정했지? 사실 그림자 마왕의 뒤에는 과학을 나쁜 쪽으로 사용하려는 또 다른 검은 조직이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역시 영양이 풍부한 음식임을 나타내는 신호다. 음식에 맛을 더하는 합성조미료란
다름
아닌 글루탐산염(MSG)이다.단맛과 감칠맛을 감지하는 수용체의 유전자가 밝혀진 것은 지난 2003년.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불과 세 개로 각각 T1R1, T1R2, T1R3로 불리는 수용체 단백질을 만든다. 이 가운데 T1R2와 T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