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훈주의
도덕
도덕률
d라이브러리
"
도의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과학동아
l
199407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형식이다. 광학계는 굴절망원경의 종류에 나오는 갈릴레이 식이며 별
도의
정립장치가 필요없다. 오페라경이나 극장관람용으로 일부 사용될 뿐이다.● 포로 프리즘식:기본 광학계는 케플러식인데 정립상을 얻기위해 포로(Porro)프리즘으로 구성된 정립장치가 사용된다. ... ...
1등사수의 지름길, 포물선 운동
과학동아
l
199407
θ는 45도이다. 이것이 같은 속력으로 던져서 가장 멀리 나가게 하는 방법이 수평면과 45
도의
각이라는 물리적인 증명이다.투수가 던진 공의 속력이 약 1백50㎞/시라고 할 때 이 선수가 45
도의
각으로 던졌을 때 나가는 거리는 대략 1백70m가 넘는다.그러나 이 모든 이론이 공기의 마찰을 무시했을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06
좌우되는 주관적인 견해이다.눈으로 인식되는 하늘의 모양은 지평선으로부터 측정한 고
도의
각과 관계가 있다. 눈으로 인식되는 하늘의 모양을 알아보기 위해 사람들은 (그림1)에서 나타낸 것처럼 천정을 지나는 수직원에서 호의 중점의 고도를 측정하였다. 사람의 눈으로 정확한 호의 중점을 ... ...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05
염소자리와 물병자리다. 토성의 밝기는 정확히 1등급이고 시직경은 17초 정도이다. 50㎜ 정
도의
쌍안경으로도 토성의 고리를 볼 수 있다.남쪽의 밤하늘화려한 겨울철의 1등성들이 서쪽 지평선 너머로 지고 있고, 여름의 별자리들은 이제 겨우 동쪽 지평선 위로 머리만을 내민 상태라, 초저녁의 남쪽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예정이었다. 이러한 조건을 모방한 휴스턴의 진공 탱크에서 연습 중 무스그레이브는 4
도의
동상을 입게 된 것이다. 그는 이 때, 영하 90℃로 냉각된 도구들을 다루던 중이었다. 사고 발생 후 이러한 계획은 수정되었다.그 후 무스그레이브는 볼트와 너트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특히 그의 신경은 온통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12
HR-1600, 사쿠라 400 등)이 적당하고 태양 달 등 밝은 천체의 촬영시에는 ASA 32의 저감
도의
고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주운동촬영에는 ASA 100 전후의 필름을 사용한다.■ 이슬방지용 히터장시간 노출촬영을 할 때 렌즈 앞에 서리는 이슬을 방지할 수 있으면 좋다. 이슬을 제거하려면 주머니 ... ...
"특허심사 담당 기술 판사제 도입 시급"
과학동아
l
199312
사법구조적 배려를 하지 않은 것'이라고 규정했다.보고서가 제시하고 있는 합리적 제
도의
모범은 독일이 채택한 기술 판사제도와 특허법원 제도. 고등법원급의 특허 전담법원인 연방 특허 법원의 기술판사는 이공계 대학을 졸업하고 특정 기술분야에 특별한 지식을 갖춘 사람 중에서 선발된다.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09
상상력을 동원해 보면 백조 모양도 그려낼 수 있다. 너비 0.4도 내에 흩어져 있는 35개 정
도의
별을 포함한 성단이 이 성운과 관련되어 있다. 이 성운의 크기는 46분X37분이므로 보름달보다도 훨씬 큰 것이다. 북반구 하늘에서 오리온성운을 제외하면 가장 밝고 선명한 모습을 보여주는 발광성운이다. M2 ... ...
코의 감도는 훈련에 의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199308
H.W.원 박사팀은 부분취맹인 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훈련에 의한 취각감
도의
회복이 취각기관에 있어서 냄새물질에 특이적인 감도를 상승시킨다는 점을 밝혀 냈다.안드로스테논 냄새를 느끼지 못하는 계통의 쥐에 23일 동안 이 냄새를 맡게 한 결과 안드로스테논에 대한 취각기관의 전기적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07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많은 재료공학자들은 소프트웨어가 체화(體化)된 고기술집약
도의
소재들이 차세대 소재의 주역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결국엔 재료와 부품의 구분이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그가 몸담고 있는 KIST의 자성합금 연구실은 원래 변압기에 사용되는 실리콘 스틸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