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고리
ring
가락지
지환
바퀴
높은이자
d라이브러리
"
반지
"(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07
짝을 이루는 4개 별을 모두 보려면 4인치 망원경을 사용해 1배 배율로 봐야한다.2. M57(
반지
성운)거문고자리 감마별과 베타(β)별을 연결하는 선의 중간에 있는 고리 모양의 행성상 성운이다. 성운 중심에서 보이는 별이 약 2만년 전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행성상 성운은 우주의 시간 단위로 볼 때 매우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01
줄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문이나 손 모양은 사용자들의 거부감이 큰 편이다. 또
반지
를 끼고 있거나 류머티스관절염 환자들에게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바로 손등의 혈관인식시스템이다.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손등의 정맥패턴도 지문처럼 사람마다 차이가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01
지녔음을 알아냈다. 그래서 아내의 손에다 X선을 투과시켜 최초의 X선 사진(뼈와
반지
만 보이는 사진)을 찍어 뷔르츠부르크 의학물리협회에 보냈다.X선이 세상에 알려지자 물리학계는 발칵 뒤집혔다. 과학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뢴트겐 실험을 되풀이 했고, 의학계에서는 X선을 이용해 환자의 몸속을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11
해 여기에 산(acid)을 채웠더니 놀랍게도 전류가 흘렀다고 한다. 이 항아리는 아마도
반지
나 팔지, 그리고 장신구의 금도금이나 은도금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측된다.이 항아리는 고대에도 전지가 있었다는 증거가 되지만 현대와 같은 전지 기술의 발전은 1794년 볼타의 실험에서 비롯된다. 볼타는 1880년 ... ...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08
만큼이나 찬란하다. 7배 쌍안경이면 두 성단을 함께 볼 수 있다. 4. 거문고 자리와 M57(
반지
성운)행성상 성운, 크기= 83x59″ 광도= 9.0 거문고 자리 감마별과 베타별을 연결하는 선상의 중간에 있는 담배 연기로 만든 고리 같은 작은 성운이 M57이다. 약 2만년 전 성운 중심에 보이는 별이 폭발한 것으로, ... ...
② 돌다리에서 사장교까지
과학동아
l
199807
한강을 건널 수 있도록 큰 배 70여척을 강을 따라 가로로 이어 서로 묶는 뒤, 그 위에 널
반지
를 깔아 5-6필의 기마가 자유로이 건널 수 있도록 했다.오늘의 한강대교 자리에 놓여졌던 이 다리는 백성의 배를 일정한 기간 동안 징발해 사용했는데 다리를 놓는데 한달, 푸는 데 한달이 걸렸다고 한다. 특히 ... ...
주방속의 과학실험
과학동아
l
199806
제품을 사용한다. 그러나 아직도 가정에서는 은수저 한두벌쯤은 간직하고 있다. 또한
반지
나 목걸이 같은 장식용품에는 은이 자주 사용된다. 이때 거무스름하게 생기는 녹은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보통은 이 녹을 치약이나 연마제로 닦아내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은도 함께 닳아 없어지게 ... ...
금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02
잡으면(환경부 추산) 모두 1백75kg의 금이 나온다는 계산이니, 이는 1돈(3.75g)짜리 아기 돌
반지
4만6천여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우황청심환 금박의 효능고대인들의 금에 대한 열망은 대단했다. 그들은 금이 발하는 빛이 악마와 귀신을 물리치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거나, 질병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 ...
비너스는 왜 바람을 피웠을까
과학동아
l
199801
장신구를 만드는 사람으로 묘사된다. 북구신화 속의 오딘도 무적의 힘을 주는 창과
반지
를 난장이로부터 얻었다.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프로디테의 남편인 헤파이스토스(로마에서는 불카누스)도 마찬가지다. 헤파이스토스는 대장간의 신으로 화산의 불을 이용해 금속을 다루던 금속 세공장이였다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03
더 크면 태양의 중앙부분만을 달이 가리고 가장자리는
반지
모양으로 남는다. 이처럼
반지
모양으로 가리워지는 것을 금환일식이라 한다. 부분일식은 태양의 일부만 가려지는 현상이다. 개기일식이나 금환일식이 일어나는 지구상의 영역은 매우 좁다. 이 지역을 벗어난 곳에서는 동일시각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