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비
방위
보호
방비
옹호
비호
엄호
d라이브러리
"
방어
"(으)로 총 64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05
장치 역시 계속 더해지는 해킹 정보를 수시로 반영하면서 컴퓨터를 보호한다.
방어
방법
방어
방법 1 전송된 정보의 IP 주소와 위험 IP 주소 비교.
방어
방법 2 인증을 거친 뒤 통과.
방어
방법 3 백신 프로그램으로 악성 프로그램 제거.해커를 괴롭히는 최후의 보루, 암호수학해킹을 막는 보안 기술은 최신 ... ...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
수학동아
l
201305
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중심지를 찾아보기로 했다.“병원은 어때?”“병원의
방어
선이 뚫려서 이미 환자들이 모두 병원을 탈출한 상태야.”“그럼 어디서 찾지?”이때 김 교수가 수학 기면증 변종 바이러스를 탐지하는 기계라며 장치를 내밀었다. 그리고는 지금은 아무런 표시도 하고 있지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02
때문에 신호의 지연시간이 적어도 수백 밀리 초는 생긴다.순간적인 상황판단과 공격 및
방어
타이밍이 필요한 상황에서 완벽한 실시간 조작이 어려운 화면만 보고 전투할 수는 없다. 프로그래밍한 대로 지상 목표물을 정밀 타격할 경우에는 시간지연이 문제되지 않지만 일촉즉발의 공중전은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02
감염을 막는 1차
방어
선때를 만드는 주범은 공기 중의 미세먼지다.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이하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이 먼지가 무생물 위에 쌓이면 그냥 먼지지만, 사람의 피부와 만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피부 표면을 덮고 있는 상피세포가 수명을 다하면 수분을 잃고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01
이미 밝혀져 있었다(아래 그림).이는 대부분 체내에 들어온 RNA 바이러스로부터 세포를
방어
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즉 바이러스의 RNA를 직접 공격해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킨다.따라서 RNA 편집이 조금 일어났다고 해서 중심원리를 정면으로 부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청 교수의 논문은 이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아니고…. 세균이나 곰팡이, 곤충, 포유동물 같은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방어
물질이란다. 울라불라, 최고의 매운 맛을 보여 주마!은하수 청아, 뭘 그렇게 열심히 하고 있니?청 피에르 권에게 맞설 매운 소스를 만들고 있사옵니다. 저는 캡사이신 가루 대신 고추를 통째로 이용할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4
말라리아 잡는다장내 세균을 피해 모기의 혈액으로 들어온 말라리아 기생충은 2차
방어
막에 부딪힌다. 바로 모기가 직접 만들어내는 말라리아 제거 단백질이다. 말라리아 기생충의 90%가 모기 몸 안에서 죽는다. 존스홉킨스대학교 말라리아연구소에서는 최근 얼룩날개모기의 특정 유전자가 말라리아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12
겨냥한 자학개그가 후보에게는 유용한 전략일 수 있다”며 “나아가 조롱을 받았을 때
방어
하기보다는 유머로 맞받아치는 전략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조롱을 받으면 고소로 대응하곤 하는 우리나라 정치판에서 더욱 유념해야 할 연구 결과다.△콜베어 리포트를 진행하는 스티븐 콜베어는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
과학동아
l
201211
않았고 날개와 애벌레 피부에서만 독성물질이 나왔다. 나비는 이 물질을 공격용 대신
방어
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 나비를 날개째 먹는 도마뱀붙이 같은 생물도 있는데, 연구진은 도마뱀붙이가 진화 과정에서 독성에 관한 면역 체계를 습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그러나 연구진은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10
결국 입자빔 무기 개발이 단기간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입자빔 무기는 이론적으로
방어
가 매우 어려운만큼 미래 전쟁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정도여서 우리도 장기적으로 관련 기술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물체에 부딪친 빛(가시광선)이 반사돼 눈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