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d라이브러리
"
상
"(으)로 총 1,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조류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번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이 연구 결과는 올해 이그노벨
상
생물학
상
을 수
상
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 나의 '치느님' 공룡에서 치킨이 되기까지한눈에 보는 치킨 경제학Part 1. 조류의 진화Part 2. 닭의 진화Part 3. 치킨의 변화Part 4. 맛의 비법별별 치킨 ... ...
[화보] 하늘에서 내려다본 세
상
드론스타그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상
어가 나타났어요! 남태평양 가운데 있는 타히티 섬에서 여유롭게스노클링을 하던 중에
상
어떼를 만난 거예요. 물 밖에서 드론을 날리고 있던 친구가 이때를 놓치지 않고 사진을 찍었답니다.월리를 찾아라! : 지중해 위에 있는 섬나라 키프로스에서는 매년 ‘리마솔 카니발’이 열려요. 카니발은 ... ...
세
상
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
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2015년 노벨
상
수
상
자가 발표됐어. 올해도 8명의 과학자들이 노벨 과학
상
을 받게 됐지. 이 수
상
자들은 오는 12월 10일 오후 4시30분에 열리는 노벨
상
시
상
식에 참가할 예정이 ... 수
상
으로 더욱 인정받게 되는 거지. 또 어떤 과학이 세
상
을 바꾸게 될까?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빛도 마찬가지예요. 입자인 ‘광양자’가 아주 많이 모여 서로 에너지를 전달하면 파동현
상
이 일어난답니다. 이처럼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을 ‘빛의 이중성’이라고 해요 ... ...
꿀벌 탐사대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팀의 이영희 대원(학부모)은 “지윤이는 지사탐 꿀벌탐구 경험으로 글을 써서 교육감
상
을 받기도 했다”며, “지사탐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자연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많은 체험들을 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지요.이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는 11월에 있을 수료식만을 ... ...
세
상
에 이런 이름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0
1993년 만우절에 발표하기도 했답니다.웃음소리와 비슷한 곤충 학명은 또 있어요. 세
상
에서 가장 작은 곤충에 속하는 ‘요정파리(fairyfly)’의 한 종류인 Kikiki huna (키키키 후나)가 그 주인공이랍니다. ‘kikiki’와 ‘huna’는 둘 다 이 곤충이 처음 발견된 하와이의 언어로 ‘작다’라는 의미예요. ‘작고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7
소화기관 등의 기능을 조절해요. 이뿐만 아니라 뇌 덕분에 동물은 생각이나 기억,
상상
도 할 수 있지요.그렇다면 뇌의 한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뇌(腦)’는 몸을 뜻하는 육달 ‘월(月)’과 내 ‘천(巛)’, 정수리 ‘신(囟)’이 합쳐져 만들어졌어요. 정수리에 냇물처럼 구불구불한 머리털이 나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6
양동이에 물을 받아 똥을 넣어 놓았지요.하루는 집에 똥을 갖고 갔는데, 똥물에 젖은
상
자 바닥이 찢어져 그만 똥이 쏟아지고 말았어요. 아내가 굉장히 당황하고 화를 낼 줄 알았는데, 의외로 담담하게 함께 치워 줘 정말 고마웠던 기억이 나네요.귀한 자원으로 점점 더 그 가치를 높이고 있는 똥. ... ...
커브볼을 치기 어려운 건 뇌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4
투수가 공에 회전을 주면서 던지면 공이 곡선을 그리며 타자에게 날아가요. 이걸 ‘커브볼’이라고 하죠. 보통 타자들은 곡선으로 날아오는 커브볼 ... 따른다는 게 밝혀진 거예요.권 교수는 “커브볼 착시는 우리 뇌의 착각이 아니라 뇌가 정
상
적으로 일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어요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3
호수가 바다와 만나는 곳에서 생긴 삼각형 모양의 퇴적지형을 삼각주라고 불러요. 선
상
지를 지난 물길은 계속 흐르다가 바다에 닿기 전에 여러 갈래의 작은 강으로 갈라지고 다시 합쳐져요. 그 결과 삼각주가 만들어지지요. 하늘에서 보면 삼각형 또는 새의 발 모양처럼 생겼답니다.삼각주는 주변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