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석사논문"(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피는 시기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과학동아 l200402
- 겨울을 난 식물이 언제 꽃을 피울지를 판단하는 메커니즘을 한국인 유학생이 유전자 차원에서 밝혀냈다.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밟고 있는 성시범씨는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봄이 올 때까지 꽃을 피우지 못하게 하는 유전자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내 ‘네이처’ 1월 8 ...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과학동아 l200401
- 휴대전화, 컴퓨터, TV 등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신문∙방송 보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 두통, 어지러움, 불면증에서 간질발작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가슴 뜨끔한 경고들이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이런 전자제품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 여간 난처하지 않 ...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과학동아 l200312
- 광주과학기술연구원의 백운출 석좌교수(69). 백 교수는 광통신 분야의 개척자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석학이다. 백 교수는 미 통신회사 AT&T의 벨연구소에서 22년간 근무했다. 벨연구소는 노벨상 수상자를 11명 배출한 세계적인 연구소다.백 교수는 이곳에서 현재 광통신 분야의 핵심적인 기술인 광 ...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과학동아 l200311
- 풍성한 가을이 끝나가고 겨울이 다가오면서 아침 저녁으로 추위가 느껴지는 계절이다. 온도의 변화를 알아챈 우리 몸은 두터운 외투를 찾게 만든다. 찬바람을 쐰 후 실내에 들어와 난방기를 켜면 훈훈함이 마음속까지 전달된다. 누구나 경험하는 이런 일들을 곰곰이 생각하면 우리몸은 마치 온도계 ...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09
- 과학자들에겐 어떤 끼가 숨겨져 있을까. 그들은 부모님, 형제들과 어떤 모습으로 삶의 무늬를 엮어냈을까.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과학자의 길을 걷도록 만들었을까. 한국의 과학자로서 갖는 자부심과 비전은 무엇일까. 끼, 끈, 꾀, 꿈이란 4개의 단어를 통해 과학자들의 세상을 풀어본다.학술연구분 ...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과학동아 l200307
- 인류 역사상 수학 논문을 가장 많이 쓴 사람은 헝가리 출신의 천재 수학자 폴 에르되시(1913-1996)다. 10대부터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그는 1천5백편 이상의 논문과 책, 그리고 다양한 글들을 썼다. 그가 살았던 20세기뿐 아니라 인류 역사를 통틀어 어떤 수학자도 따라오지 못할 정도의 방대한 양이다.그 ...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과학동아 l200305
- “몸길이가 고작 5mm밖에 안되는 톡토기를 연구하면서 점점 확장돼온 생물학 지식을 통해 제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어렴풋하게 알게 됐습니다. 만약 생물학을 공부하지 않았다면 인간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어떤 깨달음도 없이 무지몽매한 인생을 살아왔을지도 모릅니다.”전북대 생물과학부 ... ...
-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과학동아 l200303
- ‘인생대역전’의 꿈을 추구하는 로또의 열기가 대단했다. 지난 2월 10일에 추첨한 제 10회차의 경우 복권의 판매액은 2천6백억원으로, 1등 당첨금은 8백35억원이었다. 13명이 공동 1위로 각각 64억원이라는 막대한 돈을 거머쥐게 됐다. 1등은 45개의 공에서 6개의 공을 무작위로 뽑는 경우의 숫자를 모두 ... ...
- 노화방지 효소 구조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0303
- 국내 이공계 대학원 석사과정의 한 여학생이 노화방지 효소의 구조를 처음으로 밝혀내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학술지에 발표했다.지난 2월 13일 이화여대 분자생명과학부 인준희씨와 남원우 교수가 몸 안에 있는 노화방지 효소의 하나인 ‘산소화 효소’의 구조와 작용과정을 밝혀냈다고 발표했던 ...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과학동아 l200302
- 최근 전세계적으로 나노기술 태풍이 불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 여러나라가 앞다퉈 나노기술을 21세기 신기원을 가져다줄 유망한 분야로 정하고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사실 나노기술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부터 시작됐다. 당시 반도체 분야에서 마이크로미터(μm, 1μm=${10}^{-6}$m)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