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억제"(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01
- “사람에게도 겨울잠 능력이 있지만 겨울잠 유도물질을 만드는 유전자 발현만 억제된(block) 상태”라고 밝혔다.도대체 누가 겨울잠 플러그를 뽑은 걸까. 이를 알기 위해선 왜 겨울잠 능력이 포유류에게 필요했는지부터 되짚어봐야 한다. 사실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체온 유지에 에너지가 많이 들고,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01
- JAXA)과 함께 2016년에 국제우주정거장/일본모듈(ISS/JEM)에서 근육위축 억제 실험을 할 계획이다.겨울잠 중 각성은 병균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역할도 한다. 동물의 몸에 병원체가 들어오면 면역계가 반응해 체온이 1~2℃ 상승한다. 감기에 걸렸을 때 머리에서 열이 나는 이유가 이것이다. 열은 괴롭지만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01
- 이들은 20세기 후반에야 검출할 수 있었으며, 예상대로 질량을 갖고 있었다.질량을 억제하는 것이 게이지 대칭성이니까, 입자가 질량을 갖게 하려면 게이지 대칭성을 어떤 형태로든 깨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이 바로 힉스 메커니즘이다.게이지 대칭성을 깨는 새로운 바닥상태(에너지가 가장 ... ...
- 건강한 색깔 입힌 기능성 과일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피토케미컬)을 만들어요. 항산화물질은 우리 몸속에서 세포와 조직이 망가지는 걸 억제해 노화를 늦추고 암을 예방할 수 있지요.어떤 색깔이 어디에 좋을까빨간색을 띠는 라이코펜은 사과와 딸기, 수박, 체리에 많이 들어 있어요. 라이코펜은 암을 예방하고 노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지요.노란색을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12
-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다른 절임과 마찬가지로 탈수작용이 일어나면서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김치를 발효시키는 미생물인 ‘유산균’은 소금을 만나도 죽지 않는다. 그래서 시간이 흐르면 소금에 절인 뒤 다른 미생물이 사라진 빈 공간을 유산균이 차지한다. 소금에 절이는 과정은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12
- 보면 약 2년(전전두엽 피질 넓이)에서 3년(대뇌 피질 두께) 정도 뒤쳐져 있다. 전전두엽은 억제와 조절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ADHD 환자가 충동적이거나 과잉행동을 보이다가 성인이 되면 잦아들고, 주로 부주의함을 보이는 이유가 뇌의 발달 지연에 있음을 알 수 있다.문제는 이렇게 생물학적인 이상에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12
- 세포체를 다 파괴하기 전에 면역치료를 할 수 있다. 신 원장은 “스테로이드 같은 면역억제제를 썼을 때 기면증이 완치됐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발병 초기에 병원을 찾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미국에서 500명의 기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증상이 처음 나타난 시점에서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11
- 전체를 전멸시킬 정도로 치명적이다. 보톡스는 신경세포의 신호전달과정을 강력하게 억제해 근육을 마비시키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한다. 하지만 극소량을 사용한다면 국소적인 근육만 마비시켜 주름을 펴주기도 한다. 재미있게도 보톡스는 단백질 분해효소인데 앞서 말한 스네어 단백질, 즉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11
- 들은 쥐들은 3주를 살았다. 연구팀은 오페라가 면역계를 강화시켜 염증반응을 억제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술을 마시면 나르시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낸 프랑스 그레노블대 로렌트 베규 연구팀은 심리학상을 받았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맨정신일 때보다 술에 취했을 때 자신이 더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11
- 차이를 연구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일본이나 한국처럼 감정 표현을 억제하는 문화권에서는 타인의 감정을 해석할 때 눈에 좀 더 주목하고, 미국처럼 감정 표현에 적극적인 문화권에서는 입에 더 주목한다고 주장했다. 이모티콘의 예를 봐도,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웃음을 ^^, ^_^로 쓰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