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선 노화 느려질까? 꼬마선충 직접 실험
과학동아
l
201507
지구와는 다른 유전자 변이가 나타나는지, 표현형에 변화가 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진
은 이번 실험이 우주에서 장기 체류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뼈·근육 질량 감소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7
과학동아가 미국으로 날아갔다. 세계적 재난로봇 대회에 참가한 우리나라 로봇
연구진
의 활약을 두 눈으로 지켜보기 위해서다. 대회는 6월 5~6일 ...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는 KAIST
연구진
이 앞으로 더 큰 기술진보를 이루길 기대해 본다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06
비릿한 바다 내음도 맡으며.3.열과 전기자극으로 느끼는 6가지 맛 (개발 중)싱가포르
연구진
은 내년 상반기 이전 상용화를 목표로 가상미각 장비 ‘Taste+’를 개발하고 있다. 텀블러나 숟가락 모양으로 생긴 이 장비는 입이 닿는 부위에 전극이 설치돼 있다. 액체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
과학동아
l
201506
토성의 남극에서 일종의 ‘온천’을 뿜어내는 위성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 국제 공동
연구진
이 엔셀라두스의 정확한 분출 과정을 시간대별로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보내온 엔셀라두스의 사진 자료를 이용해 엔셀라두스의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해외
연구진
이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블랙홀을 찾아 화제가 됐어요. 중국 베이징대학교 쉐빙 우 교수팀은 강력한 에너지를 내는 천체, 퀘이사 ‘SDSS J0100+2802’를 관측했어요. 지상에 있는 망원경과 적외선 탐사위성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 알아냈지요. SDSS J0100+2802는 물고기자리와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06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땅을 파고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한중공동
연구진
은 올해부터 백두산 시추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원은 “지하 10km 마그마 방 주변부를 7km가량 뚫고 들어가서 백두산 천지의 지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예측 가능해도 피해 ... ...
착시 드레스 논란,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506
드레스 색을 반전시킨 노란색 드레스는 실험자의 95%가 노란색을 맞춘다. 다른 독일
연구진
은 사진을 볼 때의 주변 밝기를 이유로 꼽기도 했다. 같은 색이라도 밝은 조명 아래에서는 밝게(흰색), 어두운 조명에서는 어둡게(파란색) 보인다는 것이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커런트바이올로지’ 5월 1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06
기존 전도성 섬유는 신축성이 떨어져 늘리면 전기적 특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고무재질의 고분자물질과에 은나노 와이어를 섞은 뒤 이것을 실처럼 뽑아내는 방법으로 1000번을 늘여도 망가지지 않는 스마트 섬유를 만들어냈다. 이 섬유로 스마트 장갑을 제작해 수화를 컴퓨터로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
과학동아
l
201506
한국
연구진
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검출기가 큰 역할을 했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
연구진
은 중성 B중간자(B0)가 뮤온으로 붕괴하는 과정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5월 13일자에 발표했다. B중간자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인 양성자를 고속으로 충돌시켰을 때 아주 짧은 시간 동안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06
벗어나 목마른 원시의 삶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2003년 노르웨이와 스웨덴
연구진
은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15분 동안 틀린 맞춤법을 찾는 과제를 수행하게 한 뒤, 실험참가자를 둘로 나눠 한 집단에는 노르웨이의 아름다운 해안과 목장 사진을 보여주고 또 다른 집단에는 노르웨이 수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