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고
재액
불행
재해
천벌
화재
d라이브러리
"
재앙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08
수도 있고, 메탄이 대량으로 공기에 분출되거나 해저지층이 붕괴돼 쓰나미가 일어나는
재앙
이 발생할 수도 있다.이 교수도 “자원 문제는 인류 공동의 문제로 한 사람의 이득은 중요하지 않다”며 “누군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길 바란다”면서 한국이 그 주인공이길 희망했다.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
그러고 보니 봄철 불청객인 황사가 더 이상 자연 현상만은 아니지요? 사람이 만드는
재앙
으로, 지구 환경을 보존하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답니다.황사 주의보는 건강 주의보!황사가 심한 날 밖에 있다 보면 눈과 목이 따끔거리고 재채기가 나지요? 그만큼 황사는 건강에 좋지 않답니다. 우선 ... ...
PART1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l
200706
마치 올여름 한반도에 최악의 ‘더위 폭탄’에다가 ‘슈퍼태풍’까지 몰려올 것처럼 대
재앙
시나리오를 펼친 셈이다.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면 한반도의 기온도 올라간다. 실제로 한반도 상공의 온실기체 농도는 전지구의 온실기체 평균 농도를 웃도는 추세이며 기온 ... ...
PART2 투발루여 가라앉지 마소서
과학동아
l
200705
인내를 배우고 있는지도 모른다.IPCC가 기후변화 4차 보고서를 발표하며 다가올 투발루의
재앙
은 다시 한번 드 러났다. 보고서에는 “해수면상승으로2020년대에는홍수와 폭우위험이늘고, 2080년대에는 전세계 해안 지역의 30% 이상이 유실돼 매년 1500만명이 홍수 피해를볼 것”이란 전망이 실렸다.겁에 ... ...
킬링곡선(killing curve)으로 질주하는 지구
과학동아
l
200703
풍력 발전도 지구온난화에 제동을 걸 강력한‘쐐기’로 주목받았다. 이쯤에서‘지구
재앙
보고서’는‘지구희망보고서’로 탈바꿈한다.두 책 모두 현실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동시에 희망이라는 여운을 남긴다. 2055년에는 유채꽃 기름으로 자동차가 달리고 2073년 아프리카를 푸르게 색칠하는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03
제명됐기 때문이다.2006년에는 나비와 맛사, 룽왕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일본에 끔찍한
재앙
을 안겨줬던 태풍 나비는 잠자리라는 새 이름으로 바뀌었다.2005년에는 유난히 북대서양에 허리케인이 잦았다. 영어로 지은 이름이 21번째에서 동나자 그 뒤부터는 임기응변으로 그리스어 알파벳을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03
환경은 되돌릴 수 없었고 결국 수만명에 이르던 원주민 대부분이 사라지고 말았다.이런
재앙
은 수백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됐다. 처음 이곳에 정착한 사람들은 수십대에 걸쳐 번창했으나 환경이 파괴되는 가운데 인구는 계속 늘어 섬의 수용한계를 넘어서자 서로 죽이고 잡아먹는 지경에까지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02
달은 왕비의 상징으로 여기던 전통시대에 해와 달이 가려지는 일식과 월식은 커다란
재앙
의 징조였다. 또한 식 현상을 얼마나 정확히 예보할 수 있는가는 그 왕조가 하늘의 명령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였다.하지만 당시 수준으로는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분초까지 ... ...
히말라야 1000년마다 대지진
과학동아
l
200701
지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2000년에 접어든 지금, 히말라야에 접한 네팔에 다시 엄청난
재앙
을 부를 대지진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이다. 실제로 1833년 리히터 규모 7.8의 지진이 네팔에서 발생하면서 더 큰 지진이 덮칠 것이란 공포가 커지고 있다.영국 지질학회의 지진파 연구원인 로저 무손 박사는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외에는 아무 생물도 살지 않는 죽음의 강이 되었단다. 인간만 편하게 살겠다는 이기심이
재앙
을 불러온 거지.강이 죽어 버리면 사람도 결국 살 수 없단다. 그래서 선진국은 도시의 강을 다시 살리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어. 이 슈프레발트처럼 말이야. 슈프레 강 역시 독일의 공업화로 많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