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학생
동공
동자
눈동자
사람
자손
d라이브러리
"
제자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12
경우에도 ‘반면교사’로 삼는 경우가 흔하다. 대가일수록 사상적 스승이 반드시 있고,
제자
의 성공이 있으면 영향을 미친 스승도 재조명받는다.반면 의학, 자연과학, 공학 등은 상황이 좀 다르다. 과학은 기록이나 유산보다는 ‘새로움’을 최우선으로 추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오래된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11
합을 180°로 알고 있지만 이 사실이 언제나 옳은 진리는 아닌 것이다.한편 1854년 가우스의
제자
인 리만은 기하학의 기초에 관한 강연을 했다. 그는 곡률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다섯 번째 공리가 성립하는 공간은 곡률이 0인 공간이고 곡률이 1이면 구면처럼 평행선이 없는 공간, 곡률이 -1이면 평행선이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11
박수와 응원의 목소리를 전한다.‘프루프’ 속 재미난 이야기영화 속 로버트(내시 역)의
제자
로 등장하는 할은 밴드의 드럼연주자다. 할의 밴드 구성원은 모두 수학 전공자이다. 그들은‘i’라는 제목의 노래를 만들었다. 밴드는‘i’를 연주할 때면 3분간 어떠한 소리도 내지 않는다. 허수를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09
교수가 되고나서야 라이프 교수의 교육 방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꼈다. 그래서
제자
들에게도 답을 알려주기 보다는 스스로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도록 유도한다.“저희 연구실에서는 연구자로서 책임감이 강하고 연구를 하고자 하는 의지와 성실함을 모두 갖춘 학생을 선호합니다. 스스로 ... ...
나만의 공부법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9
가르치는 게 좋아서 교수가 되고 싶은거니?” “교수가 되면 대학이란 틀 안에서
제자
들을 가르치면서도 계속해서 자신의 분야를 연구할 수 있으니까 좋을 것 같아요. 끊임없이 탐구하고 공부하는 게 즐거울 것 같아요.” 대학 진학을 문턱에 두고서도 아직 꿈을 못정한 학생들이 많은 반면, N학생은 ... ...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08
최초로 이 지역에 도착한 영국인들이 바다 위에 떠 있는 12개의 바위를 보고 예수의 12
제자
들을 떠올리며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하지만 300년도 되지 않는 세월 동안 3개의 바위들이 침식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렸다. 최근인 2009년 6월에는 아크웨이라는 바위까지 무너져 내려 사람들을 안타깝게 ... ...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08
묻고 있어. 힐베르트가 문제를 공개하고 몇 달 되지 않아 아주 쉽게 풀렸지. 힐베르트의
제자
인 마르크스 덴이 정사면체로 정육면체를 만들 수 없음을 증명했거든. 하지만 부피가 같은 다각기둥끼리는 조각 내서 만들 수 있대. 예를 들어 부피가 같다는 조건만 있으면 육각기둥을 직육면체로 만들 수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06
그리스 수학은 에무데무스 요약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에무데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
로 플로클로스의 유클리드 주석서 제1권에 그 당시의 수학에 대해 적어 놓았습니다.그리스 수학의 시작은 기원전 6세기에 활동한 수학자 탈레스가 활약하던 때부터입니다. 에무데무스 요약에 따르면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06
해독에 드는 천문학적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었다.길버트 교수의 수
제자
로 1970년대부터 DNA염기서열해독법을 연구해온 현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 교수는 또 바이러스 단백질 구멍을 이용해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법 등 많은 방법을 고안해 염기서열해독 관련 세계 최고의 경험과 기술을 갖고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설계했다.한재흥 교수는 2005년부터 로봇새 연구를 시작했다. KAIST로 부임해 첫 번째
제자
가 제안한 연구를 시작한 게 지금까지 이어졌다. 재미로 시작한 연구에 한 교수 자신도 점점 흥미를 느꼈다. 애초부터 새 모양의 플랫폼을 만든 건 아니다. 연구 목적에 따라 그 쓰임새와 모양이 달랐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