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산마그네슘
마그네슘
마그내슈움
마그네슈움
마그네이슘
d라이브러리
"
탄산
"(으)로 총 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09
있다. 바로 시모토아 엑시구아(Cymothoa exigua)다.시모토아 엑시구아는 가재나 게처럼
탄산
칼슘이 들어 있어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인 갑각류다. 이 동물은 절대 혼자서 살지 못하며 붉은 도미의 입 안에서 기생한다. 붉은 도미의 혀 흉내를 내면서 말이다. 시모토아 엑시구아는 유충 시기에 숙주로 삼을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08
나트륨이온, 마그네슘이온 등은 용액 속에 더 높은 농도로 남아있게 돼 생기는 일이다.
탄산
음료에서도 얼음결정에 포함되지 못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면서 높아진 기압을 캔이 견디지 못하고 음료가 폭발적으로 튀어나가게 된다.음료수 캔에는 알루미늄도 있고, 철도 있고!음료수 용기 중에는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07
부석을 쪼개 자세히 보면 빵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어떻게 이런 돌이 만들어졌을까.
탄산
음료 병뚜껑을 따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음료수에 들어 있던 이산화탄소가 방울을 만들며 올라와 표면 위에 거품을 만든다. 마찬가지로 땅속에 녹아 있는 마그마가 지표로 노출될 때 기체가 빠져나오면서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07
공기와의 접촉을 막아 맥주를 신선하게 유지한다. 또 거품이 있으면 맥주에 녹아 있는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지 않아 마셨을 때 톡 쏘는 맛이 살아 있다.그런데 왜 맥주거품은 금방 꺼지지 않을까. 물에는 아무리 공기를 불어 넣어도 거품이 생기지 않고, 콜라는 컵에 따르는 순간 거품이 순식간에 꺼져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06
다른 방식으로 광물을 만들었다. 약 5억 5000만 년 전 무척추동물은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탄산
염이나 규산염, 인산염으로 된 골격을 만드는 법을 터득했다. 그 결과 지구 표면은 독특한 바이오광물로 이뤄진 두터운 퇴적층이 쌓이며 변모했다. 그리고 4억 년 전 식물이 처음 육지를 점령하기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05
용액을 넣으면 맹관부 쪽의 수면이 올라간다. 그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면
탄산
이 되고 이 용액에 염기성인 수산화칼륨 용액을 넣으면 중화반응을 하므로 이산화탄소가 물에 잘 녹아들어가 결과적으로 맹관부 쪽의 수면이 올라간다 ... ...
[화학]염의 가수분해와 완충용액
과학동아
l
200905
-가 충분해야 한다. 염기성 물질이 혈액에 유입되는 경우는 매우 적으므로 이를 제거할
탄산
의 농도는 높지 않아도 된다. 3) 인산이수소이온(H2PO4-)과 인산일수소이온(HPO42-)의 평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위 반응의 이온화상수 Ka=10-7.4이고, pH가 7.4인 완충용액을 만들려면[H+]=10-7.4이어야 한다.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05
광물이다. 탤크의 경우 모암은 백운암이나 감람암이다. 백운암은
탄산
칼슘(CaCO3)과
탄산
마그네슘(MgCO3)이 1 : 1로 이뤄진 암석이다. 감람암은 화학성분이 (Mg, Fe)2SiO4인 감람석이 주성분이다.지각활동으로 땅속에 고온, 고압의 물과 수증기인 열수유체가 축적되면 결국 지표로 올라오는데 이 과정에서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04
두고 하는 말이다.이 돌의 정체는 바로 이석(耳石)이다. 이석은 물고기 내이에 있는
탄산
칼슘 덩어리로 몸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뇌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다른 물고기도 이석이 있지만 민어과 물고기는 다른 물고기에 비해 이석이 큰 편이다.조기가 이석을 마찰해 ... ...
정말 궁할 때 이용하는 페트병 냄비와 우유팩 냄비
과학동아
l
200904
압력을 견디는 페트
탄산
음료를 담을 때는 압력을 견디는 내압성 페트를 사용한다.
탄산
음료는 온도가 높아지면 그 속에 녹아있던 이산화탄소가 튀어나오면서 용기 내부의 기압이 매우 높아지므로 이를 견딜 수 있는 내압성 페트가 적당하다.물로켓을 만들 때도 내압성 페트가 사용한다. 물로켓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